근거없는 소문으로 부작용 커 … 정면돌파로 사태 마무리

▲ 중소병원협회 이송·정영호 부회장이 5일 긴급특별회의에서 중소병원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의료기관 공개여부를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병원계가 공개를 주장하고 나서 주목된다.

대한중소병원협회는 5일 팔래스호텔에서 '메르스대책 긴급 특별회의'를 열고 "현재 병원들은 확진환자가 오면 어떻하나, 소문이 나서 다른 질병의 환자들이 오지 않을까 긴장하고 있다"며, "사실상 온라인상에서 오픈된 만큼 정확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병원 공개를 하지 않고 있어 근거없는 소문들이 나돌고 부작용이 말할 수 없이 커지고 있다는 것. 또 공개된 병원도 치료약이 없지만 치료방법이 없다는 것이 아니어서 향후 메르스를 완치하는 병원으로 정착될 수도 있기에 유언비어 등으로 추락하는 것보다 공개를 통한 정면 돌파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송 부회장은 "2009년 신종플루 당시 중소병원들의 역할이 컸다. 당시는 대형병원엔 일반환자가 몰려있고 지역의 병원들이 지역거점역할을 했다. 당시 중소병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건당국도 인식했다"면서, "그러나 국가적 재난 사태가 잠잠해지자 정부는 이를 가볍게 생각하고 지역거점병원을 키우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거점병원을 지정했지만 문제는 제대로된 격리병원의 가동이다.

격리병동은 출입구를 별도로 하고 통로와 병실 등을 별도로 갖춰야 하지만 중소병원들은 재정적으로 만들 여력도 없는 실정이다. 결국 일부 병원들은 신종플루때 선보였던 '컨테이너 진료'를 다시 가동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지역거점병원은 국가적 지원으로 유휴병상을 음압 시설 갖춘 격리병동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특히 국가중앙재난병원은 하나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이 부회장은 "NMC가 있지만 현재 그 역할 못하고 있다. 일반환자 진료에 너무 매달리고 있다. 국가재난에 대비해 병상 절반 이상을 항상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중호 부회장은 "온라인상에서 거론되고 있는 병원들은 환자가 적게는 20~30%, 많게는 50% 가 빠졌다"면서 "아픈 사람이 불안해서 오지 않게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영호 부회장은 "중소병원들은 대부분 음압시설을 갖추지 않았고 설령 있다해도 재난적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시설이 아니다"면서, "국가가 지정한 각 지역의 거점병원에 시설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보건소의 기능 변화도 주문했다. 김상일 총무위원장은 보건소가 비용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를 묻고 지역내에서 감염병 컨트롤 타워가 돼야하는데 물리치료나 일반진료를 하고 있고, 무엇보다 전문성이 떨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개선을 주장했다.

또 국가지정감염병이나 신종감염병 환자가 아무렇지도 않게 이동하는 것을 금지토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국가중앙재난병원이 있다면 일선 의사들은 환자를 이곳으로 이동토록 해 지역사회 확산이 되지 않도록 의료전달체계를 명확히 하자는 뜻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는 보건당국의 비전문성으로 인한 초기대응 잘못이 크다"면서 "병원내 감염을 강조하는 것을 보면 향후 원내감염과 관련한 중소병원 마녀사냥에 나서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지부장·차관이 모두 보건의료전문가가 아니다"면서, "보건부를 신설하거나 보건과 복지를 나눠 복수차관을 두는 방안을 검토해줄 것"을 제안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5일 가장 환자가 많이 발생한 병원은 평택성모병원이라고 공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