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생산실적 분석 결과 발표, 완제의약품 생산 증가

국내개발신약 및 개량신약의 생산실적이 전체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개량신약은 아모잘탄, 자체 개발 신약은 카나브의 실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15일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의약품 국내 생산실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의약품 국내 생산실적은 16조4194억원으로 2013년(16조3761억원)과 비슷했다. 완제의약품 생산액은 14조2805억원으로 2013년(14조1325억원)에 비해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원료의약품은 2조2436억원에서 2조1389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수출액은 24억1562만달러로 2013년(21억2837만달러)에 비해 13.5% 증가했으며, 수입액도 8.2% 증가한 52억 1755만달러로 확대됐다.

수출이 늘었지만 수입도 증가해 2014년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도 2013년(19조3244억원)과 비슷한 19조3704억원이었다.

지난해 생산실적은 △전문의약품 중심 생산 △국내개발신약 및 개량신약 생산실적 증가 △약효군별 1위는 '항생물질제제' △한미약품이 실적 1위 △수출 증가세 지속 등의 특징을 보였다.

전문의약품 중심 생산 지속

완제의약품 생산액(14조2805억원) 중 전문의약품은 11조8675억원(83.1%)이었으며 일반의약품은 2조4130억원(16.9%)으로 조사됐다. 전문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의약분업 이후 지속 상승해 2009년부터는 80%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원료의약품은 지난해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오다 지난해에는 약 1000억원 감소(4.7% 하락)한 2조 1389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약 카나브, 개량신약 아모잘탄 1위

지난해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 21개 중 생산된 15개 품목의 실적은 1092억원으로 2013년(1065억원) 대비 2.5% 증가했다.

 

1위는 보령제약의 카나브정(400억원)이었으며, 그 뒤로 LG생명과학의 제미글로정(139억원), 일양약품의 놀텍정(122억원), 동아ST의 자이데나정(117억) 등의 순이었다.

 

40품목이 허가된 개량신약은 지난해 1693억원이 생산돼 2013년(1665억원) 보다 1.7% 증가했다.

한미약품의 아모잘탄정(혈압강하제)이 720억원 생산돼 3년 연속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프레탈서방캡슐(129억원), 리세넥스플러스정(100억원) 등으로 이어졌다. LG생명과학의 제미메트서방정(38억원)은 2013년(8억원)보다 388%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희귀의약품 생산·수입실적은 희귀의약품 지정확대 정책과 맞물려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생산실적은 16품목 314억원으로 2013년(14품목, 217억원)대비 44.7% 증가했다.

녹십자의 헌터라제 주사액은 176억원 생산돼 2년 연속 가장 많았으며 수입의 경우 혈우병 환자 출혈 치료제인 노보노디스크의 노보세븐알티주(1944만달러)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약효군별 생산실적 1위 '항생물질제제'

약효군별 생산실적은 항생물질제제가 1조764억원으로 2013년(1조674억원) 2위로 내려간 후 다시 1위로 올라섰으며, 혈압강하제(1조 163억원), 동맥경화의 증상을 개선하는 동맥경화용제(9154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수입실적은 항악성종양제(4억 5,524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백신류(2억8806만달러), 당뇨병용제(2억2050만달러), 혈압강하제(2억198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생산실적 1위 한미약품, 생산품목 1위 퀸박셈주

또 한미약품이 지난해 5837억원을 생산해 실적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 종근당(5425억원), 동아ST(5308억원), 녹십자(5284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30개사의 생산실적은 전체 52.4%를 차지했으며, 1000억원 이상의 실적을 올린 제약사수는 전년과 동일한 44개사였다.

수입실적은 한국화이자제약이 4억62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한국엠에스디(3억4890만달러), 한국노바티스(2억7270만달러) 등 이었다.

이들 상위 3개사의 실적이 전체의 19.6%를 차지했으며, 상위 30개사는 65.8%를 점유했다.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에서는 베르나바이오텍코리아의 퀸박셈주가 1002억원 생산돼 가장 많았고, 그 뒤로 녹십자 알부민주20%(868억원), 대웅제약 글리아티린연질캡슐(670억원) 등의 순이었다.

상위 30개 품목 중에서는 녹십자 제품이 4개로 가장 많았고 일반의약품은 3개(까스활명수큐액, 인사돌정, 판피린큐액)였다.

완제의약품 중 실적 증가율이 가장 높은 순서는 동아ST의 그로트로핀투주(65.5% 증가), 녹십자의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52.5% 증가) 등이었다.

완제의약품 수입실적에서는 한국화이자제약의 프리베나13주가 8152만달러 수입돼 가장 많았고 그 뒤로 한국BMS제약의 바라크루드정0.5mg(6260만달러), 한국로슈의 허셉틴주150mg(5574만달러) 등의 순이다.

수출 지속 증가, 일본이 가장 많아

지난해 완제의약품 수출은 12억3393만달러, 원료의약품 수출은 11억8169만달러로 총 수출액은 24억1562만달러이며 2013년(21억2837만달러)에 비해 13.5%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에 대한 수출이 3억8564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중국(1억6001만달러), 터키(1억5597만달러) 등 순이었으며 상위 20개국에 대한 실적이 전체의 75.6%를 차지했다.

국내로 수입되는 의약품은 미국산(6억1266만달러)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독일산(5억6126만달러), 중국산(5억1915만달러) 등이 이어졌고 상위 20개국의 실적이 전체의 95.8%를 차지했다.

의약품의 수출 증가율(13.5%)이 수입(8.2%)보다 크지만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두 배 이상 큰 구조로 지난해 의약품 무역수지는 28억달러 적자였다.

식약처 관계자는 "수출 증대 및 국내 제약기업의 국제적 성장을 위해 수입당국과 협력강화, 품질기준의 국제조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지난해 7월 PIC/S(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 회원국 가입이 국내 의약품 수출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