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말 행자부 정부 3.0 박람회 전시 예정

중복 논란이 제기됐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주의 알람서비스'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예보서비스'가 다른 길을 걷게 됐다.

공단의 알람서비스는 고도화 작업을 통해 이달말 치러지는 행정자치부 정부3.0 박람회에 전시되지만, 심평원의 질병예보서비스는 별다른 성과 없이 담당자마저 손을 뗀 계륵(?)이 됐다.

1일 건보공단 빅데이터운영실 복수 관계자에 따르면, 이달말부터 내달초까지 국가 빅데이터 활용 대표사례로 '국민건강주의 알람서비스'가 소개되며, 올해 안으로 여러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고도화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국민건강주의 알람서비스'

국민건강주의 알람서비스는 정형 데이터인 공단의 진료정보와 비정형 데이터인 SNS 데이터를 융합해 분석한 실시간 질병예보서비스며, 질병 발생과 확산을 보다 빠르게 예측해 예방효과를 얻기 위해 지난 2013년에 첫 선을 보였다.

해당 서비스 구축을 위해 공단은 지난 2년간 질병발생 예측모형과 실용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또한 예측치와 실측치 비교를 통한 예측모형을 수정, 보완했다.

이는 도입 단계부터 논란이 많았다. 심평원의 질병예보서비스와 비슷했기 때문.

심평원의 질병예보서비스는 당초 선택 지역의 날씨 변화 추이에 따른 환자 수 증감량을 비교해 날씨변화에 따른 질병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됐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와 실시간 예측이라는 원리만 다를 뿐 국민입장에서 보면 '공단과 같은 일기예보 형식의 질병예보'라는 중복 논란이 일어났다.

심평원은 해당 서비스를 축소시켜 현재 홈페이지에서 계절별·성별·연령별로 주의해야 할 질병 정보를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질병예보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하고 있는 '테마별 질병정보'

이와 달리 공단은 해당 사업을 보다 고도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올해 기상청의 기상정보, 환경부의 환경정보, 식약처의 식중독 발생정보 등의 타 기관 주요 정보를 연계할 예정이며, 뉴스나 전문사이트 등의 정보 수집 채널을 보다 다양화할 방침이다.

내년부터는 보다 많은 질병에 대해 알람서비스를 확대하고, 연령별·지역별 맞춤형 서비스와 모바일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이 같은 고도화 작업 때문일까? 이달말 행자부가 주관하는 정부 3.0 박람회에 공단의 알람서비스가 빅데이터 활용 대표 사례로 전시된다. 심평원의 질병예보서비스는 뽑히지 않았다.

공단 한 관계자는 "공단 서비스와 심평원 서비스는 모두 각자 지닌 빅데이터를 활용해 연령별·지역별 질병 발생과 확산 추이를 분석,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며 "애시당초 보건복지부에서 중복되는 사업을 중재했더라면 행정력이 낭비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행자부 빅데이터 대표사례 선정과 관련해 "중복 논란이 계속됐으나, 공단이 지속적으로 고도화를 위해 노력해오면서 공단의 빅데이터에 정부가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러한 행정 및 예산 낭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궁극적으로 자료의 통합이 필요하다"며 "복지부에서 내년부터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하니 이런 일은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심평원 관계자는 "공단은 수진자 위주의 사업을 시행하다보니 이번 행자부의 정부 3.0과제로 선보이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것 같다"면서 "심평원의 자료가 부족해서라기 보다는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선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심평원에서는 빅데이터사업을 보건의료산업위주로 하다보니 대국민 사업에서 다소 멀어졌다는 것이다.

실제 심평원은 질병예보서비스를 단순한 테마별 질병정보로 축소시킨 반면, 빅데이터를 통해 개원을 앞둔 의사에게 적합한 입지를 컨설팅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관계자는 "빅데이터를 토대로 한 시장분석과 수요분석 등의 자료를 통해 요양기관의 개원을 준비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정질환에 대한 진료비 정보나 요양기관의 정보를 제공해 맞춤형 병원을 찾을 수 있는 서비스 마련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