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적 폭발장애약물치료 병행해야 효과

#지난달 25일 세종시 편의점 총기난사 사건으로 3명이 숨진 데 이어, 이틀 뒤인 27일 경기도 화성시에서도 총기사고가 일어나 4명이 사망했다. 서울 관악구 신림동 일대에서는 연쇄 방화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검거된 피의자는 여자친구가 자신을 무시해 홧김에 방화를 저질렀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총기난사·연쇄방화 등 강력사건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국내에서도 '충동조절장애'와 그로 인한 사회문제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충동조절장애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진료비는 2010년 약 115억원에서 2014년 약 118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억원이 증가했다.
 
더욱이 2014년 진료인원 3명 중 2명이 10~30대의 젊은 연령층이었는데, 20대 남성 진료인원은 최근 5년 동안 계속 증가하고 있고 그 인원 역시 가장 많았다. 
 
2012년 미국 하버드의대 Katie A. McLaughlin 교수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고 1600만 명이 간헐적 폭발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 IED)를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rch Gen Psychiatry. 2012; 69(11)]. 즉 미국 내 성인 가운데 5~7%가 간헐적 폭발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조현병과 조울병 유병률보다  높은 수치이다.
 
진단 및 통계 편람 4판(DSM-4)은 충동조절장애를 △간헐적 폭발장애 △병적방화 △병적도박 △병적도벽 △발모광 △미분류충동조절장애로 좀 더 간단·명료하게 분류했다. 
 
이 중 최근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간헐적 폭발장애, 병적방화 진단에 있어서 주의할 점과 치료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다.
 

[기획-상] 걸어다니는 폭탄이라는 이름으로 간헐적인 공격 충동이 억제되지 않아 심각한 파괴적 행동을 일삼는다는 의미가 내포돼 있다. 충동조절장애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분노조절장애로 알려져있으나, 정식 학술명칭은 '간헐적 폭발장애'이다.

 

삽화적으로 공격적 충동 억제력이 상실되고 심한 폭력 및 물건을 파괴하는 등의 양상을 보이고 수분, 수 시간 내에 완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10~20대에서 시작해 감각적 자극에 대한 과민반응이 발생하고 죄책감과 우울감을 동반한다. 아울러 과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은 물론 경도의 신경학적 이상 증상과 비특이성 뇌파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대개 중년에 그 정도가 감소한다.

간헐적 폭발장애에 치료에 있어서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역전이(Counter Transference) 하거나 위험 반응이 오는 등 역효과가 날 수 있어 정신치료만으로는 어렵다는 것.

일반적으로 쓰이는 약물에는 항정신병적 약물인 페노티아진 계열 약물, 항우울제, 리튬, 프로프라놀롤, 항경련제 등이 있다.

단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항불안제는 때때로 역설적으로 공격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처방 시 주의해야 한다.  이밖에 집단치료와 청소년을 위한 가족치료가 있다.

성균관의대 홍진표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소아기를 거치면서 자기의 본능을 통제하는 능력이 발달하고 전쟁, 스포츠 등 제한된 상황을 제외하고는 공격성을 표출하는 것은 사회적인 금기로 간주하지만 일부 자기 통제 능력이 부족한 사람에서 과도한 공격성이 표출될 수 있다"면서 "폭행, 폭력, 방화 행동을 사후에 자신이 참았어야 한다거나 과도했다고 후회한다는 점에서 충동조절 장애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사소한 자극을 받았다고 반복적으로 충동조절이 안 되는 경우 간헐적 폭발장애 진단이 가능한 데 기준에서는 1년에 3번 이상 기물을 파손하거나 사람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 진단을 내릴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