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환자 수도 의원 최다, "시스템 안착된 듯...이제 인센티브 논의해야"

금연상담 지원사업이 시작된지 1달만에 누적 환자수가 4만명을 넘어섰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금연치료 의료기관으로 신청한 요양기관은 지난 25일 기준 1만8909곳이며, 금연치료 기관을 방문해 금연상담을 등록한 환자가 4만1976명을 돌파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금연상담 지원사업을 시작한지 하루만에 등록환자가 2000명을 가볍게 넘기고, 이후 일주일만에 누적 방문 환자가 1만명에 달하는 등 '돌풍'의 추이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는 것.
 

종별 상담환자수 및 신청기관 대비 금연상담 진료 시행 기관 비율.

특히 금연치료 신청 기관 중 의원급 의료기관이 1만320곳으로 가장 많았고, 실제 금연상담 진료를 시작한 비율도 의원이 61.7%로 가장 높은 편이었다.

치과의원이나 한의원은 신청기관 대비 진료를 시행한 비율이 각각 19%, 13% 정도에 그쳤다.

병원급 의료기관은 상담을 받은 환자 수는 의원에 비해 적었으나, 신청한 기관이 많지 않아 신청기관 대비 실제 진료 비율은 전체 58.8%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환자 급증했으나, 문의 전화는 '잠잠'해져

준비기간이 짧았던 탓일까. 금연상담 지원사업을 시작하자마자 담당부서인 건보공단 급여보장실의 전화통에 불이 났었다.

무엇보다도 시스템 오류로 인한 민원 전화가 가장 많았고, 약값 계산의 어려움, 교육 부재 등의 문제와 불만도 많이 제기됐다.
 

 

하지만 지금 급여보장실에 오는 전화는 '진료비 지급'과 관련한 질의가 대부분이며, 이마저도 그리 많지 않은 상태다. 한 고비를 넘긴 것이다.

건보공단 금연치료지원TFT(급여보장실) 관계자는 "막 시작했을 때는 프로그램 자체를 처음 사용하다보니 생소함 탓에 문의 전화가 많은 수밖에 없었다"며 "바로 홈페이지에 시행순서에 따른 동영상을 찍어 게재하고, 어느 정도 익숙해지다보니 이와 관련한 질문이나 민원은 대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은 내달 초 앞두고 있는 '진료비 지급'과 관련한 질의가 가끔 들어오고 있다"며 "이 역시 컴플레인이 아닌 '언제쯤 진료비가 들어오는지'를 물어보는 것이고, '시험삼아 해본 등록환자를 지워달라'는 요청이 전부"라고 말했다.

이달말부터 의사 대상 교육 워크숍 시작

내과, 호흡기내과 등의 의사와 달리 금연상담에 대해 다소 생소했던 진료과목 의사들은 '약물 처방법'이나 '상담노하우' 등에 대한 교육을 요구해 왔다.

이에 공단은 의사회, 치과의사협회, 한의사협회 등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이사진이나 집행부 170여명을 대상으로 이달말부터 교육에 들어간다.

교육을 이수한 170여명은 다시 의사회, 협회 회원들에게 교육을 재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며, 내달말까지 모든 의사들이 금연상담을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공단에서 교육할 내용은 '금연상담 가이드라인(표준교안)'에 모두 집약시켰으며, 여기에는 흡연의 폐해부터 시작해 상담진료의 원칙, 약물치료 방안, 재흡연 방지 방법, 신종 담배의 이해 등이 담겨 있다.

"어느 정도 자리잡은 듯...이제 인센티브 고민"

 

건보공단 금연치료지원TFT 담당자는 "지난 1달이 1년 같았다"고 소회를 밝히면서도, 동시에 "인센티브 지급 방안 논의, 금연율 확대 방안 마련 등 아직도 과제가 산적해있다"고 운을 뗐다.

TFT담당자는 "요양기관들이 초반에 어느 정도 불편함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해당 사업을 준비하는 기간도 충분치 않았고, 예견이 어려운 일들이 속출했기 때문"이라며 "이제는 '수단'이 아닌 '목적'에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즉 그간 등록 시스템 오류나 약값 계산 시스템 부재 등 '수단'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는 데 급급했다면, 이제는 원래 목적인 '금연율 향상'을 위해 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담뱃값 인상에 따라 흡연자의 건강을 위해 시작된 정책이므로 부담도 더 크게 느끼고 있다고. 때문에 사업 효과를 대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결과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제는 '인센티브'를 논의해야 할 때"라며 "먼저 어떤 곳에 지급하냐의 문제가 크다. 금연에 성공한 흡연자에게 지급해야 할지, 아니면 성공률이 높은 의료기관에 줘야 할지, 교육을 잘 받은 기관에 줄지, 또는 환자가 많이 방문한 곳에 줘야 할지 등을 고민하고 있으며, 이들 기관에 얼마를 줘야 할지, 어떤 방식으로 지급할지 등 많은 부분을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