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젠더혁신] 지속적 분석 및 임상연구...우리나라는 연구지원미미

젠더(gender)는 사회나 문화를 함축하는 사회학적 의미(남성적·여성적)의 성, 섹스(sex)는 생물학적인 의미(남성·중성·여성)의 성을 뜻한다. 생명과학계에서 말하는 젠더혁신은 섹스와 젠더 두 개념을 모두 포괄한다. 정확한 성별·젠더를 고려한 분석방법을 도입해 연구의 우수성과 질을 높이자는 취지이다. 동시에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연구 관점과 방법의 변화도 지향한다. 일찌감치 미국을 비롯한 유럽국가들에서는 젠더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연구과제 선정 및 평가에 성별·젠더 요소를 적용할 것을 권고하는 등 활발한 논의를 벌이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젠더혁신 프로젝트를 시행한 지 1년 남짓밖에 지나지 않았다. 전 여성가족부 장관이자 현재 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백희영(서울대학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료 분야에서 성별과 젠더에 대한 담론과 정책이 부족하다며, 다양한 실천방향 등이 논의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 6월 젠더혁신 포럼이 창립돼 격월로 운영되고 있고, 2015년 8월 서울에서 '젠더서밋(Gender Summit)'을 개최해 세계적인 젠더혁신관련 연구개발 추세에 동참해 협력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1. 성·젠더 편견으로 사회적 비용 증가 2. 같은 질환 다른 증상…심장질환·골다공증 3. 선진국 젠더혁신 확산…한국은 걸음마 수준 4. "양성 구분해야 명확한 실험 결과 얻는다"
 

선진국 젠더혁신 확산…한국은 걸음마 수준
우리나라, 젠더 혁신 프로젝트 이제 1년…연구지원 규모 미미

두 개의 사례연구(심장질환, 골다공증)에서 도출된 결과를 보면, 기존 연구나 지식에 오류와 편견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젠더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연구를 새롭게 산출하고 이를 관련 정책에 활용하는 것이 그만큼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Londa Schiebinger 교수는 2009년부터 미국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FS) 및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와 공동으로 전문가 60여 명과 보건·의학(Health & Medicine)을 비롯해 기초과학(Basic Science), 기술(Technology), 환경(Environment) 등 다분야에서 젠더혁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각 분야에 적절한 분석방법을 도입해 나온 결과와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축적된 결과와 자료들은 관련 홈페이지와 기관에 모두 공개해 젠더혁신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EU는 2014년부터 주요 연구비지원정책인 '국제공동연구사업 지평 2020(EU Horizon 2020)' 지원시 △연구자가 연구 설계시 성별을 고려했는지 △연구원간 성비 균형을 이뤘는지 등을 연구과제 선정 및 평가 지표로 삼고 있다.

과학저널 Nature와 Science도 "생명과학·의학 분야 연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를 포함한 30여개의 저널이 새 논문 게재 원칙에 합의했다"는 기고문을 지난해 11월 발표했다.

합의문 중에는 임상시험에 성별 데이터와 젠더 요소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실험 동물의 성별 정보도 밝히라는 내용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켰다. 미국국립보건원(NIH) 역시 2014년 10월부터 동물과 세포를 사용하는 모든 임상전(preclinical) 연구에서 성별을 균형 있게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의료과학계 인사들도 이러한 움직임에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진국은 질병연구에서 성별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임상 및 중개연구 영역에서 젠더적 관점에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 새롭게 개발되는 치료기술이나 약품개발에도 성별 차이로 인한 불이익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별도 연구지원을 통해 소외되는 영역이 없도록 모니터링 및 지원을 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이 같은 지원이 전체 연구비의 1%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박현영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심혈관·희귀질환과장은 "질병에 따라서는 그 발생 기전에서부터 성별차이가 분명한 질환들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간 이를 반영한 지원이 거의 없었다"면서 "여성건강관리 영역에서 젠더적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보건사회학적 접근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피력했다.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이나 사업을 추진할 때 성차별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공평한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성별영향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면서 "과학기술 및 보건의료 연구에서도 남녀의 특성을 올바로 반영해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연구관점과 방법의 변화를 가져 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영역에서의 젠더혁신 연구가 윤리적 딜레마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남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젠더혁신 연구 확대는 보건의료영역에서 여성 신체조직을 사용하는 연구나 여성이 포함되는 임상시험 등이 증가함을 의미한다"면서 "사람의 조직 혹은 사람 자체가 참여하는 연구에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 혹은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영역의 젠더혁신 연구는 특히 보건학적 윤리적인 관점이 잘 지켜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