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책토론회, 대국민 인식 확산에 제도적 개선 촉구

▲ 대한골대사학회 주관 골다공증 관리 개선을 위한 정책포럼에서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고령화에 접어들며 골절로 인한 사망률이 늘고 있는데도 골다공증의 심각성이 간과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 대한골대사학회 주관의 골다공증 관리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경희의대 내분비내과 정호연 교수(대한골대사학회 국제협력위원장)는 국내 골다공증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했다.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져 쉽게 골절이 되는 질병이다. 특히 질병 자체보다 진단 후 골절위험이 증가하며 단기 사망으로 이어진다는 게 문제다.

그럼에도 질병이 가진 심각성에 비해 인지율과 치료율이 낮아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유병률이 높고 후속 골절과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치료 시작 후 중단율이 높다는 것도 골다공증 환자 관리에 골칫거리 중 하나다.

이에 정 교수는 골다공증 치료에 제도적인 개선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개선방향으로 골다공증의 일반 검진 시기 및 대상을 발병률이 높은 여성에서는 1차 55세와 2차 65세로 구분하고 남성은 70세로 제시했다.

남성의 경우도 일반 검진 시기를 정한 것은 상대적으로 여성보다 낮기는 하지만 20%의 유병율을 보인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더불어 골다공증 치료 보험 기준을 치료 후 골밀도 T값 -2.5 경우 지속 적용하되, 최초 치료 시 보험기준에 포함된 경우 최소 3년 이상의 치료를 보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는 현행 보험 기준이 치료기간 1년 이내, 1년 후 골밀도 T값이 -2.5이하인 새로운 골절에 한정하고 있어 이를 확대해야 지속적인 환자 관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3년이라는 기간을 설정한 것은 치료 2년 시에는 지속적인 치료군 대비 간헐적 약제 복용군에서 대퇴골절 위험률이 20% 높았지만, 치료 3년 시점에서는 대퇴골절의 위험이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정 교수는 "치료 후 질환이 정상화가 됐다고 해서 이후 비보험을 적용하는 만성질환은 없다. 골다공증은 만성질환인데도 여타 만성질환에 비해 그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면서 "국가검진 사업이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만큼 치료목적을 적용하는 것은 옳지않다"고 말했다.
 
한편 발제가 끝나고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국내 골다공증 관리의 인식개선에 학계와 정부관계자의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서울의대 내분비내과 신찬수 교수(대한골대사학회 역학위원장)는 "해외에서는 골다공증이 청소년의 질환으로 불리기도 한다. 남성을 포함해 유년기부터 그 만큼 관리가 중요하다는 소리"라며 "골밀도 감소가 가장 큰 위험인자지만 시력이 나쁘다거나 공존질환 유무 여부를 확실히 하는 등 전신적인 위험요소를 평가해야만 한다"고 조언했다. 

중앙의대 정형외과 하용찬 교수(대한골대사학회 역학위원장)는 "골절 환자에서의 염증은 단기 사망률로 가는 지름길"이라며 "노년에서 치매와 심장질환, 폐질환 등을 공존질환으로 가지고 있을 경우는 사망률은 더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골다공증의 치료율은 높은 실정이지만 골절로 인한 사망률은 미국 및 일본과 비슷한 75%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연세의대 정형외과 양규현 교수(대한골대사학회 부회장)는 "2004년 한국의 골다공증성 골절 치료비용에만 생산성 손실 포함 총 1조 495억원이 쓰였다. 노년의 골다공증은 생산성 손실이 줄고 치료비용이 느는 반면 젊은 층에서는 치료비용은 상대적으로 적게 들지만 생산성 손실이 그 만큼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진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성창현 과장은 이번 토론에 언급됐던 내용들을 긍정적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 과장은 "만성질환은 치료 보다 예방이나 관리가 중요한데 급여정책이 단편적이기 때문에 병원가에서 이를 적용하는 데 혼란이 따른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건강보험이 국민들의 혈세로 운용되기에 재정적인 부분을 결코 간과할 수 없지만 현실적인 보험기준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현재 골다공증 환자들에서는 9개월에서 12개월까지의 치료도 인지율이 20% 수준으로 보고되는데, 최소 3년간의 지속치료가 이뤄지려면 국민들의 대대적인 의식개선이 바탕이 돼야 한다고 생각을 전했다.

성 과장은 이러한 인식개선에 학계와 정부의 공동 노력이 요구되지만 2가지 걸림돌이 존재한다는 의견을 냈다.

그는 "현재 질병관리본부에 30여개과가 있는데 만성질환(NCD)를 다루는 부서가 2개에 그쳐 조직차원에서 강화가 필요하다"며 "학계에서는 국내 역학적 근거를 구축하는게 가장 큰 역할이 아닐까 한다. 국가적으로도 신약개발에는 R&D 비용을 아낌없이 퍼주지만 정작 국민 건강증진의 기틀 마련을 위한 역학조사에는 인색하다보니 국내 근거가 많지 않아 여러가지로 애매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