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물인터넷 관련 헬스케어 부문 외국에 비해 초기단계

정부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접목한 헬스케어 시장에 더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보건산업진흥원은 '헬스케어 산업의 사물인터넷 적용 동향과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해 사물인터넷 적용 헬스케어 부문은 아직 기술 적용 초기단계라 시장이 제대로 열리지 못한 것은 물론 국내 시장은 초기단계라고 진단했다.

사물인터넷이란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이 언제 어디서나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혹은 데이터 수집과 통신 능력을 이용해 물리적, 가상적 대상들을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 등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의료서비스와 접목해 고령층 홈케어나 만성질환자 치료와 관리를 위한 원격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의료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건강증진 제품을 보급하고 제품과 연계된 융합 서비스를 개발 보급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동향 보고서를 작성한 이승민 진흥원 정책기획팀 팀원은 의료비 절감을 위한 솔류션 제공이 가능한 ICT 기술로서 사물인턴넷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실제 활용단계는 아니라고 분석했다.

이 팀원은 "ICT 업계에서는 개인의 일상생활 생체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개발해 적용하기 시작했고, 의료기관도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한 의료비 절감을 위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며 "기술 표준화 문제, 개발형 플랫폼 부재,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등 사물인터넷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발표했다.

또 "미국 등 선진국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건강증진 제품과 서비스가 개발돼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사물인터넷 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 정부의 정책 지원 미흡한 상태"라며 "사물인터넷 적용 헬스케어 시장 주도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9년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 정책이 추진됐지만 헬스케어 부분에 대한 지원은 부재한 상태다. 특히 2014년 'RFID 등 센터 시범사업'의 11개 신규과제 구성 중 헬스케어 관련 과제는 2개뿐이었다.

그는 "헬스케어 부문 실증·시범사업 확대, 의료기기 업계 사물인터넷 기술 접목 지원, 헬스케어-사물인터넷 스타트업 지원 등 제품과 서비스 시장 창출 확산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업계에서도 기술 표준화 문제, 개발형 플랫폼 부재,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피트니스 트래커 등 건강증진 제품과 서비스보에 보다 많은 소비자와 사업자들을 유인하고 고착화(Lock-in) 시킬 수 있도록 수집한 개인의 일상생활 생체정보를 활용한 킬러 서비스 개발 및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사물인터넷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