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산업 대비 기부 활발... 의원실 "더 많이 했으면 하는 바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다국적제약사 대표들이 국내 매출 대비 기부 등 사회적 기여 내역을 확인받기 위해 대거 증인으로 채택됐는데 정작 이들 제약사는 억울하다는 반응이다.  

증인으로 채택된 다국적사(GSK, 한국화이자, 한국MSD 등) 대표 11명은 예상 질의에 답변을 준비하는 등 출석 의향을 보이면서도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국감 소환까지 하는건 억울하다고 토로한다. 

실제 한국 사회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의 기여 현황을 보면 다국적사의 기부활동은 적지 않다.

2013년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공시대상인 29개 다국적사의 기부금(사회공헌의 최소활동)은 매출 대비 0.37% 수준이며 타 산업군과 비교했을 때 시가총액 100대 기업은 0.14%에 그쳤다.

상장 국내제약사가 0.17%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상대평가로 다국적사는 높은 수준의 기부금을 지출하는 셈이다.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봐도 다국적사는 환자 지원, 소외계층 지원, 일반국민 지원, 산업과학진흥 지원 부문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환자 지원에는 한국애브비 '희망샘기금', 노보노디스크 '2030당뇨캠프', 한국로슈 '힐링 갤러리', 한국다케다 '어린이 재활병원 지원', 한국노바티스 '뮤지컬 음치, 희망톡케스트라' 등이, 소외계층지원에는 한국애보트 '나눔의 날', 바이엘코리아 '김장행사', 한국BMS '소외계층 아동지원기금 전달', GSK '희망콘서트' 등의 활동이 눈에 띄었다.

일반국민 지원 활동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영헬스프로그램', 바이엘코리아 '글로벌 바이엘환경대사', 한국릴리 '다제내성결핵퇴치 캠페인', 한국화이자 '헬시에이징 캠페인' 등이, 산업과학진흥 지원은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분쉬의학상', 한국화이자 '화이자 의학상', 한국노바티스 '노바티스 벤처펀드' 등이 있다.

이런 활동에도 사회공헌 부족을 언급하며 국정감사  증인 출석 요구를 한 것은 다소 과하다는 것이 다국적사 측의 입장이다.

이번 증인 출석과 관련된 한 다국적사 관계자는 "출석하는 대표들은 성실하게 질문에 답하겠지만, 이미 사회공헌을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의원실에서 알고 있음에도 증인 출석을 요구했다는 점은 답답하고 아쉬운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사회 공헌이나 국내 임상 진행 등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거나 증가하는 추세인데 격려를 해주기는 커녕 질책은 억울하다는 것.

아울러 생산시설 구축이 미진한 점에 대해서는 "생산시설이 들어오려면 입지선정이나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데, 공장이 없다고 쉽게만 바라볼 사안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본사 입장에서 보면 한국 시장이 생산시설을 투자할만큼 이점이 있어야 하며, 한국지사 대표 입장에서도 이는 다른 지사와 경쟁해 국내 유치를 하고 싶은 상황인데 아무것도 안했다는 시각으로 보면 곤란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정부 입장에서도 외국자본 투자유치, 인력양성 등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겠지만, 우리도 이에 부응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외국계 제약사들이 증인 출석되는 것은 그만큼 타 산업에 비해 외국계의 비중이 높아 그럴 수 있고, 제약산업 구조도 외국계에 대한 의존도가 있기에 국회가 바라는 기대치가 있는듯 하다"고 풀이했다.

또 "다국적사는 억울한 부분도 있겠지만 국민들은 정부 취지에 공감할 것"이라며 "사회공헌 활동은 인정하지만 국내에서 매출 규모가 크고 산업 특성상 도덕적인 부분에 대한 기대치가 높기에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의원실 "좀 더 많이 해주길 바라는 것"

한편 증인출석을 요구한 보건복지위원회 이목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측은 법적으로 다국적사라고 국내에 사회공헌을 얼만큼 해야한다는 조항은 없지만, 좀 더 많이 해주길 바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의원실 정일섭 비서관은 현재 의사일정 협의를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라 향후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고 "다국적사의 사회공헌 활동이 많다면 많을 수 있지만, 국내사와 비교하면 국내사는 본사도 한국이고 시설이나 인력 채용 규모도 투자도 더욱 많다"고 비교했다.

더불어 "다국적사가 국내에서 임상을 한다지만 연구실 운영 형태는 아니고 시설이나 인력이 개발되는 것도 아니다"라며 "일반인이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다국적사는 약을 갖다 팔고 글로벌 본사에 송금한다로 알려져서 이 같은 인식은 다국적사에게도 마이너스"라고 설명했다.

이번 증인 채택은 사회공헌이 부족하면 촉구하고 이를 충실히 이행하는 회사가 있다면 설명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는 것. 또 발전적인 사회공헌 방안을 모색하거나 규제 등으로 막혀있는 부분이 있다면 방법을 찾기위함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기부금은 공제 혜택도 있으니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고 세금도 적게 낼 수 있다"며 "사회공헌을 강제할 방안은 없고, 업체에서 자발적으로 좋은 방법을 찾았으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