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 대도시 중심 의료특구 조성 등

날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의료시장 진출은 향후 5년간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의료시장 진출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중국 정부가 늘어나는 의료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민영병원 설립을 장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의료기관들이 이를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국제무역연구원 최창환·김정덕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정부는 재정으로는 취약계층의 공공의료를 확충하고, 고급 의료서비스 등 여타영역은 민영병원이 담당하도록 하는 이원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한 민간 자본의 진입을 활성화하는 다양한 우대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의료특구를 조성한다. 그간 대규모 민간자본과 해외 유명 의료기관 유치의 걸림돌로 지적돼 온 복잡한 인허가와 조세규정 등을 완화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노력과 소득수준 향상 등에 힘입어 중국 민영병원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공립병원의 수가 연평균 -1.7% 감소한 반면 민영병원의 수는 16.0%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병원인 3급 민영병원의 최근 3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9.3%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민영병원들이 향후 중국의 고급 의료, 웰니스(Wellness) 분야의 의료서비스를 주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유명 네트워크 병원들이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부유층 대상 VIP 병원을 설립하고, 성형외과․치과 등을 중심 과목으로 성장하던 민영병원들이 점차 암을 비롯한 중대 질병과 재활의료 등으로 과목을 다각화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진출 전략은 새롭게 수요가 증가하는 시장을 선점하는 데 있다. 기존 과목은 이미 진출한 타 병원들 간 경쟁이 치열하므로 미용성형, 고급 건강검진, 특수클리닉 등 성장이 유망한 웰니스 분야의 기술적 우위를 가진 분야의 신수요 창출형 투자가 유리하다”고 제언했다. 

새로운 사업모델로 시장선도자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뒤, 안정화 궤도에 오르면 외부에서 대규모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확장하는 전략을 권유했다.

과거 진출사례에서 간과된 점을 보완해 중국 진출 시 단순한 의사파견 중심의 합작은 금지하도록 했다. 연구원은 "병원운영, 고객관리 등 전반적인 운영시스템을 함께 도입해야 하며 병원장이 아닌 전문 경영인 중심의 운영, 역량있는 대관업무 담당자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