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간경화-간암 진행, 말기 간경화는 사각지대 놓여

 지난 5월 국회에서 열린 국민 간질환 정책 포럼에서 대한간학회 정책이사 김동준 교수(한림대 소화기내과)는 말기 간경화에 산정특례가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
이어 12~14일 제주도 해비치 호텔에서 성료된 간주간(Liver Week 2014)의 정책세션에서 좌장으로 참석한 김 교수를 다시금 만나볼 수 있었다.
그는 어김없이 국내 알코올성 간질환의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과 말기 간경변 환자에 따르는 혜택의 불합리성에 대해 강력하게 주장했다. 학회장에서 만난 김 교수의 속 얘기를 들어봤다.    
    
 
 

▲ 김동준 교수(한림의대 소화기내과)

이번 4개 간질환 연관 학회 첫날 오전 정책세션은 의료인은 물론 경제학 전문가들이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김 교수는 세션을 마친 후 "간질환의 비용에 대한 연구는 많지가 않은 실정"이라고 입을 떼면서 "국내는 앞서 발표된 2개의 사회경제적 비용연구 결과 의료비용 보다 추계되지 않는 비용, 다시말해 사회가 감당해야 할 생산성 손실 비용이 80%로 훨씬 크다"고 지적했다.

즉, 간질환은 겉으로 들어나지 않은 숨은 비용이 막대하다는 설명이다.

간질환이 대부분 40,50대 남성들로 생산성이 높은 연령군에서 발생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보고된 것 보다 노동력 손실에 따른 사회적 영향력이 클 것으로 김 교수는 생각을 전했다.

간질환은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 간염과 알코올 간염으로 크게 구분되고 전자의 경우 일부 논란은 있지만 국가 관리체계의 기틀 만큼은 합격점을 받아왔다.

문제는 알코올성 간질환에 국가적인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질병관리본부의 일부 감염성 질환 전문가들은 간질환을 바이러스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임상에서 환자를 마주하는 간전문의의 견해와 다소 차이가 존재하는 실정.
 
김 교수는 알코올성 간질환은 국내서 약 40% 분포를 나타내는데도 사회 전반적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은 사실을 우려했다.

더욱이 그는 "간염에서 시작돼 간경화를 거쳐 간암으로 진행하는 질병경과를 살펴보면, 만성간염은 다양한 치료 여건이 갖춰졌고, 환자들이 종국에 간암으로 이환되면 중증질환에 포함돼 관리와 지원이 따른다"면서 "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만성 간경변 환자들은 질병이 중하고 사회적 영향력이 높은데도 소외를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김 교수는 보건복지부에 해당질환의 보장성 강화와 난치성질환 추가를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이는 말기 간경변이 당뇨병이나 만성 신부전증 처럼 계속해서 환자가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기에 보장성 질환 추가 후 사회가 져야할 할 부담이 20여년이면 종료된다는 주장이다.

▲ 정책세션 논의중인 김동준 교수(좌)

간질환은 일련의 스팩트럼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시작과 끝인 간염과 간암은 국가적 지원 체계가 견고하고 지속적인 보완이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간암 발생의 80%에서 기저질환이 되는 간경화는 지원이 없어 문제가 심각한 것.

김 교수는 "정부가 국민 보건의료 정책 시행 시 의도적으로 제외했다고는 생각 않는다"며 "그동안 질환의 중요성이 제대로 이슈화 되지 못했고 학회차원에서도 학문적 연구는 열심히 했지만 사회적인 문제를 대변하지 못한게 원인"이라고 밝혔다.

향후 계획을 묻자 김교수는 "크게 2가지"라고 주저없이 답했다.

김 교수는 "알코올성 간질환에 있어 사회적 관리체제가 마련돼 있지 않은 것은 여러 이유가 있다"면서 "해당 환자들의 음주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기 때문에 환자단체를 만드는 시작단계부터 난관이 따른다. 또 음주 문제에 치료제가 딱히 없어 제약 스폰서로 부터 관련 연구의 지원을 받을 수 없기에 의료진 역시 연구를 하지 않는 실정"이라고 예를 들었다.

이어 "때문에 정부도 이를 방치해 왔고, 복지부는 알코올성 간질환 문제를 단순히 알코올 중독이라는 틀안에 가둬놓고 있다"면서 중독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일부로 '일반화의 오류'에 해당된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음주로 인한 국내총생산(GDP) 손실이 막대하다는 사실을 꼽으며 복지부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금주를 금연처럼 적극적인 사회운동으로 발전시키는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아울러 간경화에 당국의 지원이 안되는 현 상황을 거듭 지적하며 "간경화 전부가 아닌 증상이 심하고 말기에 놓인 비대상성 간경화 환자의 보장성 강화를 해결하는 데 집중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