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구 10만명당 46.3명이 심장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고령화, 심뇌혈관질환 유병률 증가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는 16일 The-K 서울호텔에서 '급성심장정지조사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16개 시도 644개 의료기관, 연간 2만9000여건을 전수조사한 2013년 심장정지 조사 주요 결과 자료를 공개할 예정이다.
 
사전공개 자료에 따르면 심정지 발생규모는 2008년 41.4명에서 2010년 44.8명, 2013년 46.3명으로 늘었다. 여성보다 남성에게, 50대 이상 중고령층에서 주로 발생했다. 지난해는 남자가 64.7%였다.
 
퇴원생존율은 2008년 2.5%, 2010년 3.3%, 2013년 4.9%로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심폐소생술 시행률 증가,  AED(자동제세동기) 보급 증가 등 그간의 정책적 노력과 국민들의 인식개선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응급체계가 잘 돼 있는 서울·대전 등은 8%대의 퇴원생존율을 보여 선진국 수준(8~9%)에 근접했지만 전남, 경북, 충남 등은 아직까지 전국 수준에 비해 낮았다.
 
구급대원 AED 적용률은 2008년 10.7%, 2010년 32.7%, 2013년 88.4%로 대폭 개선됐다. 반면 일반인 시행률은 2008년 1.8, 2010년 3.2, 2013년 8.7%로 개선 추세를 보이나 외국에 비해 낮았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이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퇴원생존율이 4.9%인데 반해,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퇴원생존율은 13.7%로 높았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서는 2013년 급성 심장정지 조사결과 주요 문제점으로 분석되는 △뇌기능 회복률 제고 방안 △심폐소생술 시행률 제고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집중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초 목격 즉시 심폐소생술 시행 △119 구급대로의 연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