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 징후 달라 ... 대책 강구해야

자살시도자들은 우울감 등 정신과적 증상(37.9%), 대인관계 스트레스(31.2%), 경제적 문제(10.1%) 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시도자(10만명당 700여명)가 일반인(10만명당 28.1명)보다 자살률이 약 25배 높다.


보건복지부는 2일 2007∼2011년 응급실로 내원한 8848명 자살시도자에 대해 의무기록조사 결과, 자살사망 직전 1년 동안 정신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이 50%, 상해로 인한 의료이용이 30% 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을 통해 자살 사망 유형 4가지를 규명했고, 자살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위험요인 14가지를 추출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자살위험 징후는 20대는 SNS 문구를 자살 관련 내용으로 변경, 30~40대는 주변 사람들에게 잘못을 빌고 안부를 물음, 50~60대는 자식들에게 아버지(또는 어머니)를 잘 모시라고 당부하는 특징이 있었다.
 
특히 대국민 인식조사에서 국민의 73.9%는 '자살은 절대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응답해 '자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였으나, 누군가 자살을 결심한다면 아무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25.6%로, 일본의 11.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다음과 같은 적극적인 자살예방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심층적인 자살원인 분석을 위해 올해 심리적 부검 확대 실시하고 자살고위험군 조기 발견·연계를 위한 자살예방 생명지킴이(게이트키퍼) 양성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 취약계층 노인, 복지 사각지대 계층 등 자살취약계층을 위한 보건과 복지 서비스를 연계한 통합적 자살고위험군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자살시도자, 유가족 등 자살고위험군의 자살예방을 위해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유가족 심리지원 사업 등 자살고위험군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복지부는 일반인 대상 국민참여형 생명존중문화 조성 캠페인을 추진하고, 자살수단 접근성 차단, 국민 정신건강증진 등의 내용이 포함된 중장기적인 범정부 차원의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올해내에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