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제적으로 가장 부유한 국가들이 치매 관리에 크게 관심을 갖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에 대한 준비가 미비한 저소득·중소득 국가에서 치매 환자가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와 대책 마련이 촉구됐다.

세계알츠하이머학회(ADI)가 최근 영국 런던에서 열린 G8 치매 정상회의를 앞두고 전세계 역학 조사 결과가 담긴 정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서는 현재 치매 유병자 수는 4400만명 가량이지만 2030년이면 7600만명, 2050년이면 1억3500만명으로 눈덩이처럼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09년 보고서에서 예측한 것보다 각각 15%, 17%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 저자 중 한 명인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Martin Prince 교수는 "치매는 전세계적인 문제"라고 강조하며 "특히 자원이 제한돼 있고 사회 안전망이나 헬스케어에 대한 포괄적인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전체 치매 인구 중 미국과 일본,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G8이 차지하는 비율은 32% 가량이지만 2050년이 되면 이 수치가 21%로 크게 줄고, 대신 저·중소득 국가의 비율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몇십년 뒤 전세계 치매 부담은 비중은 가난한 국가 위주로 옮겨가는데, 특히 현재 급속하게 개발되고 있는 G20 멤버인 중소득 국가에서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리적으로 구분했을 때 2013~2050년 치매 환자 수 증가율은 유럽이 90%로 가장 낮고 아시아·태평양 228%, 아메리카 248%, 아프리카 344% 순으로 점차 높아진다. 그러나 같은 아메리카라도 소득 수준이 높은 북미지역은 156% 가량이지만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많게는 412%까지 증가율이 올라간다. 아시아·태평양에서도 고소득 국가의 증가율은 133%에 불과하지만 오세아니아 350%, 동남아시아 340% 등 세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ADI는 "치매 환자를 장기간 관리하는 방안은 공중보건 정책의 가장 우선순위로 다뤄져야 하지만 슬프게도 대부분의 국가가 치매 유행에 전혀 준비되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세계보건기구(WHO)에 소속된 193개국 중 국가 차원의 치매 관리 계획을 가지고 있는 곳은 단 13곳"이라고 지적했다.

ADI 멤버이자 알츠하이머협회 공공정책이사인 Matthew Baumgart 박사는 "치매는 범국가적인 유행병인 만큼 각 국가별 따로 노력할 것이 아니라 글로벌한 처방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는 소아마비 발생을 멈췄고, 심질환 치료법을 찾았으며 여러 암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의지가 충분하고 연구 투자가 이뤄진다면 관리는 물론 예방도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ADI는 보고서에서 전체 치매의 10%는 공중보건 개선으로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흡연과 운동부족,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을 타깃으로 하는 캠페인과 마찬가지로 기타 인지기능 강화에 대한 교육도 보건 정책의 우선순위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