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재규 교수



- 국내 상부위장관질환, 유병률 증가추세
김재규 교수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상부위장관질환 관리에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전반적인 유병률이 감소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GERD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위염, 소화불량은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위궤양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제균치료가 폭넓게 시행된 후 재발률이 감소했지만,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 치료율이 높아지면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현황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유럽 지역은 물론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에서도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도 제균치료가 폭넓게 시행됐지만, 최근에는 재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제균율도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상부위장관질환, 암 위험도·삶의 질 직결
상부위장관질환은 장기적 관리가 필요하고 병변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암 위험도와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김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위암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꼽았다. 국내에서도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진료지침을 발표, 제균치료를 강조해 왔다는 점은 이의 중요성을 잘 반영해 준다. 일본의 경우 최근 진료지침 개정판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양상이 보이는 위염 환자도 제균치료 대상으로 포함시켰고, 보험제도에서도 이를 반영토록 했다.

김 교수는 “일본의 경우는 제균치료의 범위를 폭넓게 설정해 위암의 위험요소를 제거하겠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에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치료의 적응증을 확대할만한 근거가 없고, 국내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과 위암 간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준비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상부위장관질환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강조했다. GERD는 임상지침에서 질환의 정의를 삶의 질에 중점을 두고 제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삶의 질에 관련된 부분은 GERD뿐만 아니라 위궤양, 소화불량 모두에 해당하지만, 특히 출혈성 위궤양의 경우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 근거중심 진료지침으로 관리한다
김 교수는 상부위장관질환이 위암 위험도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만큼 1차 의료기관에서 관리할 수 있는 부분이 충분히 있다고 강조했다. 위암의 선별검사, 중증 환자의 전원, 장기적인 치료전략 등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임상에서 최근 개정된 GERD,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치료 진료지침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국내에서 위장관질환이 호발하는 경향을 보이는만큼 임상 진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진료지침도 발전해왔고, 올해 발표된 GERD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진료지침은 최신의 근거들을 반영해 잘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이번 진료지침들은 3차는 물론 1차 의료기관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충분한 근거고찰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편리성을 고려해 문답식으로 구성했다.

단 김 교수는 1차 의료기관에서 1차 치료에 실패했을 때는 3차 의료기관으로 전원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GERD의 경우 수술이 필요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1차 제균에 실패할 경우 항생제 내성을 평가한 후 치료해야 하기 때문이다. 별도의 치료전략이 필요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도 3차 의료기관으로 전원시키는 것을 권했다. 김 교수는 “불응성 GERD와 항생제 내성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만큼 1차 의료기관에서의 초기 스크리닝 및 진단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소화기 궤양 가이드라인은 2009년에 발표됐지만, 추가적인 근거를 반영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상황이고, 위장관 출혈과 연관된 소화성 궤양은 국제적인 컨센서스가 모인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우리나라 특성이 고려된 근거를 기반 진료지침은 아직 없다.

- 치료전략, 앞으로의 과제는
상부위장관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전략은 확립돼 있다. GERD에 프로톤펌프억제제(PPI)를 쓴다는 점, 소화기 궤양에 내시경 치료를 시행한다는 점 등 큰 틀은 짜여져 있지만 약물의 투여방법, 용량, 유지기간 등 구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논의할 여지가 남아있다.

김 교수는 “PPI의 경우 보험기준에서 12시간에 2회 투여까지 인정하고 있지만, 일부 약물의 경우 지속적인 처방도 가능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어떤 전략이 더 나은지에 대해서는 근거가 없다. 또 PPI 약제 간 큰 차이는 없지만, 회귀분석 결과 골절 및 골다공증, 마그네슘 감소 등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위암에 대한 국가건강검진사업,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치료의 적응증, 병변에 따른 내시경 치료전략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