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헬스케어 신시장 창출’에 유전체분석시장도 들어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생명공학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기기, 서비스, 소프트웨어 중심의 유전체서비스 시장이 성장 중이며 2016년 66억달러로 전망되는 등 유망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유전체 인프라, 유전체 자원 공유 및 활용체계, 유전체 장비 개발 등에서 현재 아직 취약한 상태다. 법, 제도적 한계와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시장 초기 수준인 것이다.

우선 산업부는 다부처 포스트게놈프로젝트(2014~2021년) 수립에 따라 산업인프라 조성 등에 집중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는 총 910억원이 할당되며, 유전정보의 생산, 분석, 처리를 위한 IT인프라와 의료기관의 검체, 의료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임상을 연계한 협력모델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IT인프라는 슈퍼컴퓨터, 분석 및 해독시스템, 전용 소프트웨어, 서비스 모듈 등을 구축하고, 임상에서는 특정질환에 대한 유전정보, 임상정보 데이터웨어하우스, 분석 등 통합솔루션을 마련한다.

기업 중심의 상용화도 추진한다. 별도 시설없이 유전체서비스 기능을 통합해 최고 수준의 분석능력 확보를 위해서다. 여기에는 200억원을 지원한다.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필수적인 제품화를 목표로 한 R&D 사업도 추진한다. 하반기 중 TF를 구성, 중장기 로드맵 수립 및 경쟁력있는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부처간 협력으로는 병원-기업 간 연계를 바탕으로 타산업 연계형 기술(신약개발, 진단기기, 유헬스, 인터넷포털 등) 개발을 지원한다.

내년에는 60억원을 투입해 한국인 게놈표준지도 개발 사업도 예정하고 있다. 다양한 유전체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최적 예측, 분석하는 통합분석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해외 수입에 의존중인 차세대 NGS(염기서열 시퀀싱 장비) 핵심기술과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한 대형과제도 기획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 EU 주요국은 기업-개인 간 직접적 유전체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구글은 SNS 방식의 유전체 정보교류 상품을 제공하기도 했고, 35만명 대상으로 직접 영업 중"이라며 산업계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독려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