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비급여로 돼 있는 로봇수술을 급여화 해야 한다는 주장에 찬반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대한병원협회 주최로 열린 글로벌 의료정책 포럼에서 고려의대 김선한 교수(한국외과로봇수술연구회장)는 부작용이 크다고 알려진 로봇수술의 사망률이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올해 NECA 발표 자료에 따르면 로봇수술의 일주일 내 사망률은 0.02%이고 30일 이내 사망률은 0.09%이다. 소문과 달리 로봇수술은 안전하다”라며 “국내에서는 전립선암과 갑상선암, 직장암 등이 안전하게 로봇수술로 시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최근 유럽비뇨기과학회 저널인 Urology에 발표된 계통적 리뷰 및 메타분석 자료에 따르면 개복수술이나 복강경수술에 비해 차이가 없다고 발표됐다”라며 “갑상선로봇수술도 입원일수나 통증, 미용 측면에서도 앞서고 있다”라고 말했다.

일본과 홍콩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로봇수술을 급여화 하고 있다는 것도 근거로 제시했다. 2012년 4월 전립선암에 대해 일본이 보험급여를 실시했고, 홍콩은 전립선암과 직장암에 대해 로봇수술을 급여화 했다는 것이다.

한림의대 이영구 교수도 일정 수준에 이르면 현재의 수술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술법이므로 로봇수술을 급여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의사의 입자에서는 로봇은 더 이상 논란의 대상이 아닐 만큼 장점이 많다”라며 “로봇수술을 건강보험의 제도권으로 받아들여 환자의 부담을 덜어줘야 하고 만일 선별적으로 급여화를 추진한다면 이미 유효성과 안전성이 검증된 수술은 시급히 급여화를 추진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포럼에 참석한 일산병원 권국환 교수는 로봇수술이 일부 질환을 제외하고는 개복수술과의 비교에서 우위에 있지만 복강경수술과의 비교에서는 비용효과적이지 않다고 지적하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권 교수는 “올해 JAMA를 보면 로봇수술이 복강경보다 3분의 1 정도 비용이 더 들었다고 발표됐다”라며 “결국 안정성, 효용성이 인정된 것은 필수의료지만 여건 상 선별급여를 하고 우리나라가 선도하는 질환은 선별급여를 해야 한다. 안전성 효용성이 입증되지 않은 것은 비급여로 남겨둬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