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IT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법적 규제 완화가 필수다. 의료계가 원격진료 자체에 너무 매몰돼 있는 것 같다. 막상 시행되면 생각보다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의사들이 할 수 있는게 많다.”

원격진료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천명한 대한의사협회를 바라보는 의료IT업계는 복잡한 심경이다.

이번 새 정부 들어서면서 국무총리실,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나서서 “원격진료는 창조경제”라고 말할 정도로 뜨겁게 달아올라 있다. 그만큼 기대감도 크다. 시행됐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일제히 물밑작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정부 지원금만 바라보는 시기를 넘어 이젠 무르익을 때가 됐다는 것이다.

원격진료를 위해서는 스마트폰 외에 여러 생체인식기기 등과의 접목이 필수로 보고 다양한 기회를 모색했다. 이들을 통합하고 환자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PHR(Personal Health Record) 서비스 개발도 봇물을 이뤘다.

그러나 의협의 반대가 이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셈. 고객들인 의사들에 괘씸죄가 될까 차마 드러내진 못하는 대신, 뒤에서는 엄청난 한숨을 내쉬고 있다.

A업체 관계자는 “도서, 산간 등에서는 의료서비스가 절대적으로 취약하다. 이들을 위해서라도 원격진료는 필요하다. 의사들이 시골에 가서 진료를 하지 않으면서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동안처럼 시범사업으로 일회적인 서비스에 그치면 환자들에 돌아갈 수 있는 실익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B업체 관계자도 “원격진료가 허용된다 하더라도 오히려 병의원 내 환자들을 위한 서비스 실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고, 불특정다수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를 시도해볼 수 있다”며 “유지보수료 한푼 제대로 올리지 못하는 의료IT업계에 숨통을 트이게 하고 고용도 유발되면서 새로운 산업군 자체가 창출될 수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의협의 반응은 냉랭하다. 의협 노환규 회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허상에 떠있고 실체조차 마련되지 않은 원격진료가 허용되면 일차의료와 동네 개원의를 다 죽이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를 위해 업계에선 3차 병원에 제한적 허용을 주장하고 있다. 대형병원이 독식할 수 있는 우려를 막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면 된다는 것. 또한 현재 의료전달체계 자체가 문제일 뿐, 원격진료 내용이 문제는 아니라는 주장도 많다.

그러나 원격진료가 비용을 누가 부담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안고 있고 초기에 환자가 부담할리는 만무할 만큼, 대형병원을 제외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도 공존한다.

이에 업계는 한편으로 내심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의협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행될 수 있는 분위기는 재차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C업체 관계자는 "의료계가 아무리 반대한다 하더라도 의료비용 절감과 신산업 창출을 동시에 꾀할 수 있어 정부에서 강력한 시행 의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