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결함 표적약물 병합결과 A1C↓, 저혈당↓, 체중↓


초기효과 장기간 유지 가능성 제시···소규모 연구 한계

"인슐린 저항성과 베타세포 기능장애 등 고혈당 원인의 핵심이 되는 대사결함을 표적으로 하는 항당뇨병 요법이 병태생리학적 원인을 고려치 않고 단순히 혈당강하만을 겨냥하는 것과 비교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국제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한 연구가 당뇨병 치료시 병태생리 기전에 대한 이해와 이에 근거한 맞춤형 표적약물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있어 화제다.

미국 텍사스대학의 Muhammad A Abdul-Ghani 교수팀은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학술대회에서 '신규 제2형당뇨병 환자의 초기 3제요법과 단계적 추가요법'에 관한 임상연구를 발표, 이 같이 밝혔다.

약물치료 경험이 없는 신규 당뇨병 환자에게 처음부터 3개 혈당강하제를 병합해 투여한 결과, 단계적으로 약물을 추가하는 기존 전략과 비교해 혈당강하 효과가 보다 우수했고 혜택은 장기간 유지됐다.

3개 약물을 동시에 투여한 만큼, 이러한 결과는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우려되는 것은 부작용 위험의 변수.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는 저혈당과 체중증가의 위험까지 3제요법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감소했다.

환자의 반응에 따라 1·2·3차로 추가약물이 투여되는 전통적 전략과 비교해 초기 및 장기간 혈당조절 효과는 물론 안전성까지 우수하게 판명된 것이다.

연구는 기저시점에서 평균 나이 45세, 당화혈색소(A1C) 8.6%, 체질량지수(BMI) 36, 당뇨병 이환기간 5.6년으로 젊은 연령대의 고위험군 제2형당뇨병 신규 환자(147명)들이 대상이었다.

연구팀은 처음부터 3제요법을 선택했다. 메트포르민 1차선택으로 충분히 혈당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설포닐우레아를 2차로, 그래도 시원치 않을 경우 3차로 인슐린을 추가하는 과거 대표적으로 권고됐던 단계별 전략을 하나로 통합해 초기부터 강력한 혈당강하 전략을 구사하고자 함이었다.

고위험군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혜택 대비 잠재적 부작용 위험을 고려하면 무리한 시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연구팀은 여기서 약물선택을 달리 하는 절묘한 한수를 두었다. 메트포르민(포도당 생성·흡수↓, 인슐린 기능↑)은 그대로 두고, 티아졸리딘디온계 피오글리타존(인슐린 민감도↑)과 GLP-1 유사체 엑세나타이드(인슐린 분비 ↑, 글루카곤 분비↓)의 조합을 선택했다.

메트포르민이 인슐린 분비능 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에 관계 없이 두루 사용된다면, 피오글리타존은 인슐린 저항성을, 엑세나타이드는 베타세포 기능을 주요 표적으로 한다. 이로써 상호보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들 약제 모두 저혈당 위험이 없으며, 메트포르민과 GLP-1 유사체가 티아졸리딘디온계의 체중증가 위험을 상쇄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높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2년 후 중간분석 시점에서, 3제요법군은 기저시점의 A1C 8.6%가 6개월 시점에서 6.1%로 유의하게 줄었으며 24개월까지 일관된 수치를 유지됐다. 비교대상이었던 전통적 단계별 추가전략군은 6개월 시점에서 6.1%로 감소했다가 24개월에는 6.6%로 다소 증가했으나, 역시 유의한 효과였다.

3제요법군의 A1C 감소효과는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우수했다. 2년 시점에서 A1C 7% 미만 목표치를 달성한 경우도 92% 대 72%로 3제요법군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우수했다.

한편, 강력한 A1C 감소에도 불구하고 3제요법군의 저혈당 발생빈도는 전통적 치료군에 비해 13.6배나 낮은 결과를 보였다. 체중 또한 3제요법군에서 1.2kg이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3.6kg이 증가해 안전성 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해 "초기 3제요법이 기존 단계별 치료와 비교해 효과와 안전성, 편의성, 비용 등 모든 측면에서 유리한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의미를 밝히는 한편, 소규모 샘플에 궁극적인 임상결과를 보지 못한 점 등 한계를 들어 "미세혈관 및 대혈관 합병증의 차이를 볼 수 있는 대규모 환자 대상의 임상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