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장 강조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가, 아니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사망사고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가?”

14일 환자안전관리강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박병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장은 “약화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공공기관에서 보유한 빅데이터와 DUR시스템을 활용해 예방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정부와 병원 등에서 보유한 막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한국형 병용금기 기준 등을 개발해 적절한 안전관리를 시행하자”고 주장했다.

병원의 데이터는 물론, 심평원과 공단의 약물처방 및 진료비 청구자료, 통계청 사망자료, 중아암등록자료 등을 통합, 활용해서 한국형 병용금기와 연령금기 DUR기준 등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다만, 현재 개인정보보호법에 주민등록번호나 질병관련 정보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어 활용이 어렵다고 토로하면서, “앞으로 법, 제도를 개정해 약화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바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올바른 약물사용을 선도하기 위해서 DUR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가 발생하는 약물들에 대해 우선 △임상결과를 평가하고, △이를 심평원 서버에 탑재, △허가사항 변경 및 안전사용정책을 마련한 후, △이같은 정보를 전문가 및 일반인에게 교육하고 홍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가장 먼저 이 프로세스는 프로포폴이나 향정신성 식욕억제제 등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문제 약물들부터 우선 적용하자고 제안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DUR 정보의 개발로 약물오남용, 약물알레르기, 수유부 주의 기준 등 다양한 부작용을 연구해 강력한 예방법을 만들자는 것이다.

박 원장은 이같은 방대한 정보력을 바탕으로 약화사고 대책을 세운다면, 충분히 피해자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후적인 관리부분에서는 ‘약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작용 보고에 있어서 현재 약사의 비중이 감소하는 것을 지적하면서, 박 원장은 “전문인력을 약성해 부작용 보고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해외의 의약품 피해 구제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뉴질랜드나 북유럽의 무과실보상방식, 일본의 정부보조금 지급 방식, 대만의 전담기관 마련 등을 보고 배우자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