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질환은 과도한 세포사멸로 인해 발생한다.

반면, 암이나 자가면역질환의 경우 세포사의 감소는 원래 세포사로 예정돼 있었던 세포들의 생존으로 이어지고, 이같이 사멸이 예정됐던 세포들의 수명연장은 질병과 직결된다. 세포예정사 연구는 암관련 분야에 매우 유용해 현재 많은 암 치료법들이 세포 "자살 프로그램"을 자극시키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앞으로 암세포의 세포사를 유도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그림은 선충의 한 종류인 C. elegans에서 세포분열, 기관발달, 세포예정사조절 과정의기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노벨의학상 수상자들은 이를 통해 고등동물에서 세포예정사를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와 그 작용기작을 규명했다.

그림은 선충이 1,090개의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세포사멸 유전자에 의해 131개의 세포가 예정사멸하고, 나머지 959개의 세포가 성체로 성장하는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수정된 난세포는 세포분화를 거쳐 완성된 개체로 성장한다. 즉, 각 개체는 모든 세포분열를 통해 세포계통(cell lineage)으로 분화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