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2021년까지 5788억원 투자


정부가 미래 먹거리와 성장 동력으로 유전체 연구사업을 주목하고 이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

15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한국유전체학회와 박인숙 의원 등 5명의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바이오산업화를 위한 多부처 합동 토론회’에서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6개 정부기관이 내년부터 ‘포스트게놈 신산업 육성을 위한 다부터 유전체연구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에는 복지부 1577억원, 농식품부 1180억원, 해수부 608억원, 미래부 1513억원, 산업부 910억원 등 내년부터 2021년까지 8년 동안 총 5788억원이 투자된다.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허영주 과장은 미국은 유전체에 중점 투자 분야로 선정해 활성화 하고 있고, 영국의 카메론 수상은 직접 10만명의 환자유전체 분석계획을 발표할 정도로 선진국에서는 유전체 연구가 앞서가고 있다고 발표했다.

허 과장은 “영국은 암 희귀병 환자의 유전체 분석 후 항암제 맞춤치료에 적용하고 있고 3년간 약 1700억원을 유전체 시퀸싱이나 정보저장, 분석 치료적용에 투자하고 있다”며 “중국도 중국 과학아카데미 산하 베이지유전체연구소 중심으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인원이 1천명 이상을 보유해 세계 최고 수준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다”며 국내 유전체 연구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유전체학회 김열홍 회장(고려의대)도 유전체 연구는 2011년~2020년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임상에 적용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지금 준비를 치열하게 하지 않으면 뒤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 회장은 국내 유전체 연구가 발전하려면 6개부처 등을 컨트롤 하는 타워가 필요하고, 보험재정이나 국가연구비, 기업 자금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회장은 “의사들도 유전체 정보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 유전체 각 분야에 대한 전문가 양성도 시급하다”며 “실용적 기술개발 및 상품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부의 대폭적인 투자 계획에 대해 서울의대 유전체의학 연구소 서정선 소장은 정부의 방향은 옳지만 먼저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 소장은 “유전체 검사의 비용대비 효율성이 높고 미래 맞춤의학에서는 모든 병원에서 환자 진료에 실시간으로 유전체 검사 정보를 사용해야 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정보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세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하고, 정부가 이에 대한 법을 만들 때 가이드라인을 잘 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패널로 참석한 서울의대 김주한 교수도 유전체 관련 법을 만들 때 의료법, 생명윤리법 등 여러 가지 법들이 상충되는데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법을 만든 후 유전체학 연구는 한 분야만 참여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며 “기초과학을 시작으로 의료기관, 교육, 문화 등 모든 기관들이 참여하는 융합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