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서비스 불만 증가…수준도 갈수록 낮아져
서비스 지속하려면 제공범위 세분화·정확도 높여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의 마케팅 정보제공 사업이 유명무실화 돼 가고 있다. 제한적인 정보, 비싼 가격 등 제약사들의 불만이 제기되면서 이 서비스가 사장될 위기를 맞고 있다.

의약품정보센터는 지난 2008년부터 제약사들에게 △연도별·분기별 공급수량과 금액 추이를 비교한 자료 △질병군별·약품분류별·제품형태별·연령별·성별 의약품 사용현황 △지역별·요양기관종별·투여경로별 현황 등을 유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이 이를 활용하는 사례도 갈수록 늘어왔다. 2008년 시행 첫해 560건에서 지난해에는 2084건으로 4배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갈수록 자료제공 수준이 떨어진다며 제약사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돈은 돈대로 받으면서 자료 활용 가치는 떨어진다"면서 "특히 진료과목별 자료가 부재한 점과 지역구분이 광범위한 측면 등 정확한 공급내역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수수료감면 여부나 산정방식 개정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당장 제약사들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자료 제공 범위를 시군구별이 아닌 읍면동단위·기관별로 더 세분화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또 이를 처리하는 인력도 늘려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문제점을 수렴해 심평원도 사용내역정보를 심사연월 기준과 진료연월 기준을 따로 마련하고, 또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자 국가통계포탈과 연계했다. 더불어 직접 입력항목 최소화, 수수료(추정액) 사전 안내, 제공 유형 확대(12항목→18항목), 신청 안내문 보완 등을 시정했다.

하지만 제약사들은 "여전히 센터의 정보제공 업무 처리가 상당히 비효율적이며 정보가 부정확하고, 원하는 자료를 제공받기 힘들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와 관련 장용명 심평원 정보분석부장은 "정보분석, 제공과 관련한 직접적인 직원은 2명 뿐"이라며 "인력 부재로 모든 요구사항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더불어 전향적인 정보 공개 요청은 이해가 되지만, 공공기관으로서 보안적인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또 제약사들이 시군구별이 아닌 읍면동단위·기관별 자료를 원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후에서 사전으로 제공시점을 변경하자는 것과 읍면동 단위로 범위를 세분화하자는 주장 모두 동의하나, 해당부분은 고시나 규칙 개정이 불가피하다. 이는 국회-보건복지부 권한 집행기관으로써 개정에 대해 건의는 해보겠다"고 말했다.

제약사들은 개선이 되지 않으면 더이상 정보를 구매할 필요성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 제약사 직원은 "의약품센터에서는 다소 미래지향적인 자료 운용을 하지 못하는 것 같다"면서 "정보분석 전문인력 확충과 자구책 없이는 재정만 낭비하는 비효율적인 부서로 남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