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와 함께 살지 않거나 독거노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령화의 현실 속에서 홈헬스가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헬스케어스마트홈연구단과 한국주거환경학회가 13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수명 100세 헬스케어 기반 조성방안 정책 토론회"에서 다양한 직역이 참여, 홈 헬스에 대한 유용성을 시사했다.

보건사회연구원 송태민 박사는 "현재 도시는 96%, 농촌은 97.5%가 자녀와 동거하지 않고 있다. 평소 건강관리를 위한 노인주거 시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며 "이를 토대로 모든 주거 시스템으로 가능하도록 확산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별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더라도 설계 당시부터 자연스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 여기에는 효과평가, 경제성, 대처방안 등의 연구와 논의가 뒤따라야한다고 지적했다.

주택관리공단은 현재 86명을 대상으로 u헬스 건강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공단 임세순 소장은 "보통은 의지가 없거나 불신해서, 복잡한 절차 등으로 홈 헬스 이용에 대한 진입장벽이 있다. 그러나 질환이 많으면서도 평소 관리가 어려운 독거노인들에게 반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직 제도 개선이라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한국u헬스협회 이광근 팀장은 "산업이 활성화되기엔 법·제도에 한계가 있는 상태이고, 덩달아 해외진출도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수익모델이 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투자만 해야 하는 만큼, 제도의 걸림돌은 크게 다가온다. 단순한 기술 개발보다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확인하면서 정부 차원으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움직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렇다고 마냥 정부, 병원 등에 한정시킬 수 없다. 서울대병원 성형외과 김석화 교수는 ACO시스템을 예로 들며 정부, 병원, 의사 등 관계자들이 함께 건강관리에 참여하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ACO는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연방정부 기관인 CMS(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에서 만든 새로운 형태의 헬스케어 모델이다. 의료 관계자를 유기적으로 묶어 환자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고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줄여보자는 취지에서 만들었다. 비용을 절감하는 기관은 별도 인센티브를 주게 된다.

GE헬스케어코리아 윤영욱 상무는 "홈 헬스, 나아가 u헬스는 몇 개 병원에 한정된 움직임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정부와 병의원이 환자와 함께 상생의 건강관리를 하자는 취지"라며 "정부 등 대형 기관을 중심으로 흩어진 정보를 한데 모아 표준화를 실현하고, 의료생태계를 중심으로 만성질환을 관리한다면 건강보험재정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