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흩어진 보건의료 R&D 예산으로 연구성과가 산업화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오제세 보건복지위원장(민주통합당) 주최, 보건복지부 주관의 5일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HT 추진전략’ 주제로 열린 HT 포럼’에서는 그간 보건의료산업을 실질적인 신성장동력으로 이끌지 못한 아쉬움이 가득 묻어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박노현 R&D 진흥본부장은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지식경제부에서 별도로 수행하는 보건의료 R&D 관리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편하고 일원화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기초·개발·응용 등 R&D 연구단계가 부처별로 나눠져 있어 분산·중복 투자가 이뤄져왔고, 결국 산업화로 연결되지 못했다는 것.

실제로 진흥원 조사결과, 지난해 부처별 보건 의료 R&D 예산현황을 보면 교과부 52.3%, 복지부 21.5%, 지경부 13.2% 등이다. 그중에서도 기초R&D 분야는 교과부, 응용 분야는 복지부, 개발과 실용화는 지경부의 예산 비중이 높았다.

반면 선진국은 다르다. 미국은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지난해 R&D 예산 312억달러 중 99%인 309억달러의 집행을 책임진다. 영국은 의학연구위원회(MRC) 차원으로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국가과학위원회나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차원으로 예산 배분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 본부장은 “이제 막 떠오르는 연구중심병원을 통해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연구소와 산업 성과를 잇는 기업이 함께 움직여야 한다. 중개·임상연구, 신의료기술 개발까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국과위 류용섭 국장은 “기초, 기반 분야의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고 연구저변도 확대됐지만 실질적 산업화 성과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라며 “글로벌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보건의료산업을 고도화하고 바이오, 의료기기 등에 중점 투자분야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피력했다.

오제세 위원장은 “차기 정부에서는 보건의료산업을 실질적인 신성장동력산업의 중심에 놓고 육성시켜야 한다”며 ”의료와 제약분야에 가장 우수한 인재가 몰리고 있는 만큼, 단순히 치료 외에도 연구, 산업화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노벨상도 배출해 내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