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로봇 수술 안전성과 관련한 실태조사가 진행된다. 결과가 나오는대로 로봇수술 질병을 축소하고 가이드라인이 제정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언주 의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8일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로봇수술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오는 12월 조사를 마치고 그 결과를 국회에 보고한다.

진행 경과를 보면, 지난 9월 12일 이 의원이 복지부에 서면 질의서를 보냈다. 이에 복지부는 9월 27일 의사협회와 병원 등에 사실 확인을 위한 자료를 요청했다. 이후 10월 5일 이 의원은 복지부 국정감사에서 임채민 장관을 상대로 실태조사를 촉구했고, 임 장관은 조사할 것을 약속했다.

이번 조사는 로봇수술을 시행하는 전국 30개 병원의 환자정보와 수술 건수 및 환자 상병 등 현황자료를 복지부가 수집, 로봇수술 전후 환자의 합병증과 사망률 등 경과를 관찰하고, 부작용 사례분석 등을 실시해 로봇수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게 된다.

국내 로봇수술 장비는 전국 30개 병원에서 36대가 사용중이다. 세계 5위 보유 규모이자, 인구 100만명 당 보유대수는 세계 3위이다. 주로 세브란스(신촌 4대, 강남 1대)와 서울대병원(2대), 아산병원(2대) 등 대형병원 위주로 사용된다. 2005년 24건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1만4274건이 시술됐다.

조사는 복지부 12명, 심평원 12명 등 총 24명의 조사인력이 동원돼 로봇수술을 많이 실시하는 병원과 국공립병원을 위주로 현지 실태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또 의사와 통계 전문가를 포함한 10인 이내의 자문단이 병원 진료기록 분석을 맡는다.

복지부는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국회에 보고한다. 결과에 따라 로봇수술을 실시할 수 있는 대상 질병을 축소하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국민들에게 알릴 계획이다.

이언주 의원은 “로봇수술은 평균 700만원에서 2000만원까지 전액 비급여로 환자가 부담하는데 비해 효과가 낮아 환자들에게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며 “로봇수술의 피해에 대해 의료계 내부에서도 문제를 제기한 만큼,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복지부가 객관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