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탈모 환자가 최근 5년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락소 스미스클라인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최근 5년간(06~10년) 연도별 ‘탈모(L63~L66)질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자 탈모 환자가 2006년 8만 2000여명에서 2010년 9만 4000여 명으로 약 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단자료를 근거로 남성 탈모환자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눈에 띄는 점은 안드로젠성 탈모환자의 가파른 증가폭이다. 안드로젠성 탈모증은 흔히 말하는 ‘남성형 탈모증’으로 정수리에서 시작하여 점차 머리 전체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조사 결과 남성 안드로젠성 탈모증 환자는 2006년 6908명에서 2010년 1만652명으로 약 54%가량 급증했다. 같은 기간 남성 원형탈모증(9%)이나 남성의 기타 비흉터성 모발 손실(16%), 흉터성 탈모증(31%)의 증가폭과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수치이다.

또한 2010년 남성 안드로젠성 탈모증 환자의 분포를 보면 총 1만652명 중 10~30대가 7591명으로, 전체 환자의 71%를 차지하고 있어 젊은 사람에서의 탈모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40~50대의 전유물로 알려진 안드로젠성 탈모증 환자가 젊은 층에서 많이 보이는 이유는 과거 탈모를 단순히 유전적인 원인으로만 생각하고 치료에 대해 소극적이었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치료가 가능하다는 인식의 전환으로 병원을 찾는 젊은 층이 많아 졌기 때문이다.

안드로겐성 탈모의 원인은 치료남성호르몬의 작용, 유전적인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중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DHT(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높으면 탈모가 일어난다.

건국대병원 피부과 이양원 교수는 “두피와 모발에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을 DHT로 전환시키는 5알파환원효소 제1형과 제2형 두 종류가 존재한다”며, “이때 생성되는 DHT가 바로 남성형 탈모의 주범이며, 따라서 남성형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5알파환원효소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