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의학과, 국민과 가까워질 묘수는?

정신과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진료과 명칭을 바꾼 정신건강의학과가 국민에게 다가서기 위해 치열한 고민을 하고 있다.

12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세션에서 ‘국민과 함께 하는 정신건강의학과’를 주제로 공청회가 열렸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병수 교수는 이름은 바꿔 그릇은 커졌지만 내용물은 아직 그대로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임상건강증진학회 등 다른 곳에서 우울증을 스크리닝 하는 방법에 대해 더 많은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정작 우리 진료과 의사들은 관심이 부족하다”며 “정신건강검진을 할 수 있는 플랫폼 자체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를 하고 체계적인 플랫폼을 갖춰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에게 강제로 설득하려 하고, 강요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 생각한다. 정보를 주고 좀 더 소프트하게 재미있게 다가서 환자들이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국민에게 다가서는 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또 국민이 요구하는 것과 의사들이 하려는 것이 Miss Match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많은 환자가 문제가 있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지 않으려 하고, 반대로 정상인에게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받으려 한다고 본인의 경험을 말했다.

“정상인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삶의 문제, 철학의 문제를 상담하고 싶어 한다. 또 삶의 스킬에 대해 얘기하고 싶어한다”며 “앞으로 의사들이 정신건강을 더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최종혁 의무이사는 정신보건법의 내용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신보건법에 조현병이나 우울증 등을 치료하는 것으로 제한돼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정신건강에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것.

최 의무이사는 또 “그동안 정신질환의 치료가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건강한 사람들의 건강쪽으로 틀을 바꿔야 한다”며 “사회적 이슈가 있을 때 참여할 수 있는 방법도 강구해 국민의 정신건강지팀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할 확대를 주장했다.

이민자나 탈북자들이 우리 사회에 정착할 때 정신건강 스크리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등이 최 의무이사가 말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사회적 역할이다.

최 의무이사는 “올해 건강정책과에서 정신건강의학과에 배정된 예산은 150억이지만 다른 진료과에 비하면 적은 액수다”라고 지적하며 “회원들의 절실한 노력으로 복지부 내에서의 조직 강화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정신건강의학과가 소아청소년과 등과 같이 진료과 이름 변경에 성공했다는 평을 듣게 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