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백병원 박미정 교수팀, 부모 중 한 쪽이라도 대사증후군일 경우, 자녀 위험도 상승

대사증후군이 가정에서 대물림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조기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교수팀이 지난 1998년부터 2008년 동안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657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대사증후군이 자녀에게도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분석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부모에 비해 한 쪽 부모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도는 4.2배, 양쪽 부모 모두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에는 8.7배로 매우 높았다. 대사증후군의 평균 유병률은 40대 연령의 아빠의 경우 30.3%로 나타났으며 엄마는 15.2%, 10대 아들은 3%, 10대 딸에서는 1.9%로서 전체 10대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2~3%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부모가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 비만인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 유병률은 18.2% 였으나 한쪽 부모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비만인 자녀의 대사증후군 발생의 유병률은 29.2%, 양쪽 부모 모두 대사증후군이 있고 자녀가 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53.9%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부모의 비만이나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적 요소 및 식습관, 운동습관 등 환경적 요소가 모두 자녀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계백병원 박미정 교수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한식위주의 식생활이 줄고 집 밖에서 사먹는 고단백 고칼로리의 동물성 지방섭취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청소년시기의 복부비만, 고지혈증, 고혈당이 관리되지 않는다면 그대로 청장년 시기의 성인병으로 연결된다"고 밝혔다.

분당차병원 유은경 교수도 "건강 시한폭탄인 대사증후군은 소아청소년에서도 드물지 않으므로 가족력이 있고 본인이 비만인 경우 즉,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빨리 전문의를 찾고 초기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성인은 3명중 1명이 발생될 정도로 유병률이 높지만, 아직 소아청소년에서는 대규모 연구가 많지 않다. 이를 고려할 때 한국인 부모와 자녀간의 대사위험인자를 대규모로 분석해 부모-자녀간의 연관성을 파악한 연구라는 점에서도 세계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Diabetes Care 2012년 2월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