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간 가이드라인 위원 절반 이상이 연관

미국에서 지난 10년동안 발표된 당뇨병과 고지혈증 가이드라인들이 제약사와의 이익관계(confilct of interest)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드라인 위원회에 소속된 전문가들의 절반가량이 이익관계와 연관돼 있었고, 4%는 이해관계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마운트시나이의대 Jennifer Neuman 교수는 2000~2010년 사이 발표된 14개 가이드라인 위원 288명의 이해관계를 분석했다. 이 중 5개의 가이드라인은 이해관계 여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검토결과 288명 중 48%에 해당하는 138명이 제약사와 이해관계가 있었다. 이해관계 사례의 93%는 사례금, 연자료, 당뇨병·고지혈증 제약사의 주식 등이었고, 7%는 연구자금 지원만 받았다.

연구팀은 "이들 중 6명은 가이드라인 위원장이었고, 73명의 위원들은 이해관계를 밝힐 기회가 있었지만 밝히지 않았고, 77명은 이해관계를 밝힐 기회가 없었다"며 가이드라인과 이해관계 간 연관성을 강조했다.

제약사가 아닌 재향군인관리국이나 미국예방서비스테스크포스 등 정부에서 지원을 받는 가이드라인 위원들의 경우 이해관계에 영향을 덜 받았다(16% 대 69%). 하지만 연구팀은 "정부 기반 가이드라인 위원들의 경우 이해관계에 대한 투명성 정책이 크게 엄격하지 않다"며 헛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Neuman 교수는 지난 3월 Arch Intern Med(2011;171:577)에 발표된 미국심장학회(ACC)/미국심장협회(AHA) 가이드라인 위원들의 이해관계 연구와 함께 이번 연구는 가이드라인에 대한 스폰서와 가이드라인 간 밀접한 연관성과 영향성에 대한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의 가이드라인 위원들의 경우 제약사나 의료기기 회사들보다 특정 학회와의 이해관계가 더 일반적이라고 덧붙였다.

ACC/AHA 가이드라인 위원들에 대한 연구를 발표한 펜실베니아대학 James Kirkpatrick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심질환에에 이어서 당뇨병, 고지혈증 가이드라인 역시 이해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재차 확인시켜줬다"며 "일부 이해관계에 대해 밝히지 않은 가이드라인들은 이에 대한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평론을 게재한 영국 사우스미드병원 Edwin Gale 박사는 "이해관계 문제는 법적 규제보다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며 이해관계에 대한 절차 개선이 우선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연구지원과 직접적인 연구지원을 구분하고, 이를 제3자 및 제3기관이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