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독도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원격의료서비스를 통해 성공적인 u-Health의 가능성이 제시됐다.

계명대 동산의료원은 지난달 "제1회 원격의료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올해 5월부터 정식 운영하고 있는 원격의료센터에서 운영하는 시스템과 의미에 대해 소개했다.

울릉군 인구는 8000여명에 이르며, 울릉의료원 1곳, 보건지소 2곳, 보건진료소 3곳, 노인요양병원 1곳, 치과 1곳, 한의원 1곳, 약국 4곳, 한약업소 2곳 등의 의료시설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의사는 공보의 17명으로 전부 공공기관에 의존하고 있다. 중증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 여객선과 헬기를 이용해 육지로 수송하게 되는 등 의료취약지역으로 꼽힌다.

여기서 원격의료의 기회가 마련됐다. 동산의료원 심장내과 김윤년 교수는 "2008년 심장질환 중심으로 화상진료를 통해 독도수비대 검진을 하고, 독도와 울릉도 주민을 화상진료 후 긴급 후송한 성과를 올렸다"며 "올해 5월에는 동산의료원-울릉도 구간의 원격의료센터를 개소해 피부과, 내과, 정신과, 신경과 등의 다양한 진료과의 협력을 통해 원격의료를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의료원에는 화상카메라, 마이크, 이전 진료기록, 실시간 영상 등을 갖출 수 있도록 했다. 울릉도 원격지에는 펜티엄4 이상의 컴퓨터, 17인치 이상 모니터, 상하좌우로 회전하는 원격조정 가능 카메라, 블루투스를 활용한 생체신호 측정 장치, 헤드셋, 피부나 두피를 확대할 수 있는 피부확대경 등을 구비했다. 병원 내 서버는 데이터 저장장치인 동시 데이터 중계를 하게 된다.

원격지에서 환자가 접수하면 실시간 환자영상이 한눈에 보이고 이전에 진료기록 확인과 문자대화가 가능하다. 확대경을 통해 원하는 부위의 추가 영상을 얻을 수 있어 상세한 진료가 가능하다.

응급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는 병원 내 중환자실, 응급실을 중심으로 환자의 생체신호를 중앙모니터 서버로 전송하고, 의료진이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조회할 수 있다. 이송 과정에서도 119, 1339와 연계해 구급차에 탑재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 응급환자의 주요 생체신호를 전송받아 병원에 도착하기 전 상태 파악을 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울릉도 현지에서의 호의적인 반응을 토대로 u-Health의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됐다. 김 교수는 "u-Health를 통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서비스의 경쟁력을 보완할 수 있다"며 "홈 네트워크와 의료 연결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고령화, 암, 만성질환, 비만 등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의료시장 개척도 가능하다. 국외 체류 중인 교포는 물론, 상대적으로 의료환경이 취약한 지역의 의료서비스 솔루션의 필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해외환자가 늘어나는 상황 속에서 지속적인 사후관리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됐다.

법안은 아직…가이드라인 구축중

실제 u-Health에 대한 국내 잠재시장은 1.7조원 규모이며, 매년 12.5%성장이 예측되면서 2014년에는 3조원 시장 진입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도 우리나라를 2018년 "u-Healthcare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원격의료 확산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다.

의료계에서는 의료사고 시 법적 책임소재가 불명확하고, 건강보험수가 불인정, 개인정보보호, 의료정보 표준화 미비 등을 가장 큰 문제로 꼽고 있다. 보건복지부 김선도 사무관은 표준화, 산업분류체계, 지식포탈 구축, 인력양성 등의 당면과제를 꼽았다.

현재 표준화를 위해 기술표준원 산하 ISO/Tc215는 보건의료정보 컨텐츠 기술 표준화를 구축 중이다. 신산업이기 때문에 산업분류체계가 부재하므로 산업분류체계 개선을 추진하고, 산업 육성을 위한 통계지표를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인력양성을 위해 노동부지정 글로벌헬스케어 인력양성센터에서 재직자대상 u-Health 교육과정 개설, 운영 중에 있다.

무엇보다 법이 막혀있다 보니 더디게 흐르는 느낌이다. 향후 법안 통과에 대해서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복지부 차원에서는 몇가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만큼 운영 가이드라인부터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김 사무관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식적인 가이드라인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지만, 복지부와 행안부 공모사업에서 지자체별로 운영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들을 종합해 원격영상진료 서비스 운영가이드라인 제시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