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보훈처, 전장 스트레스 관리 취약
PTSD 프로그램, 매뉴얼, 교육과정 없어

대한불안의학회의 재난정신의학위원회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천안함 생존장병들이 심각한 수면장애, 해리장애, 수치심 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국방부는 이러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선 인적자원의 한계를 들 수 있다. PTSD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전문가들의 전문성 부족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은 육군에만 정신과의사, 임상진료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10명으로 구성된 건강관리팀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올해 4월에 국군수도병원에 군정신건강센터를 만들고 민간인 정신과 의사를 2명을 채용했을 정도로 미약한 수준이다.

구제역으로 농민, 공무원들이 심각한 정신적 상처에 시달렸음에도 전국의 구제역 관련 PTSD상담 실적은 1.7%에 불과할 정도였다. 또 제도적 기반과 법률적 기반 등 물적자원이 미비한 것과 PTSD에 대한 전문 프로그램이나 매뉴얼, 교육과정 등이 없다는 것도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우리나라 군인들의 전장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부분에 허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불안의학회(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위원회, 서울 보훈병원) 정문용 위원은 “전체적 관리는 국방부가, 사후 관리는 국가보훈처와 보훈병원, 정책수립과 연구는 민간단체가 각각 하고 있다”며 “유기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따로 따로 움직이고 있는 게 문제다”라고 불안의학회에서 말한 바 있다.

PTSD를 진단하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박 박사는 “의사들이 PTSD를 진단하는 게 간단하지 않다. 우선 DSM-IV-TR 진단기준에 맞아야 하고, 군복무 중 경험한 외상적 스트레스와 PTSD 증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며 “1년 6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고 사병의심자가 아니어야 한다”라고 말한다. 그는 또 전문가라 불리는 의사들도 PTSD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PTSD에 대해 교육받고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국방부와 보훈처의 유기적인 연계가 부족하고, 특히 민간전문가 집단의 실효적인 연계가 부족한 것도 현재의 문제점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