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가 신약개발과 외국 진출을 위해 혁신신약보다는 제네릭에서 축척된 노하우를 글로벌 개량신약 개발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이 지난 27일 열린 ‘제약산업 국제화를 위한 신약개발 및 수출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나왔다.

이날 세미나의 주제 발표를 맡은 강원대 약학과 이범진 교수는 개량신약 개발을 시작으로 혁신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하는 것이 한국적 제약 환경에 합당하다고 발표했다.


또 우리나라는 기반기술과 우수한 인력이 확충돼 있고 양호한 정부의 지원 및 투자 의기가 많아 개량신약을 개발하기 적합하다고 말하고 덧붙여 미국도 개량신약 개발이 혁신신약 개발을 2001년에 앞질렀다며 혁신신약이 반드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신약 개발과 관련, 연구, 행정, 인허가, 약가 등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정부 주도의 의약품연구원 설립이 필요하다며 약계에 이러한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게 아이러니하다고 이 교수는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세미나에 참석한 제약협회 갈원일 전무는 찬성하는 의견을 보였지만, 보건복지부 보건산업기술과 한상균 팀장은 현재 신약을 담당하는 많은 정부 기관이 있어 중복된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제시한 신약 가격 정책의 두 가지 트랙에 대한 주장과 관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관리실 유미영 부장은 현재도 신약은 95%까지 우대해 가격을 책정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면 복지부와 논의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