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IT강점을 기반으로 한 의료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곳곳에서 예측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 Health Insights의 최근 발표 따르면, 한국 헬스케어 부문 IT 지출은 연평균 3.7%의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0년 2억1759만 달러에서 2014년 2억5525만 달러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존 환자 중심의 병원들이 첨단 의료 기술을 갖추고 스마트폰을 통해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함에 따라, 스마트패드 등의 새로운 기술 부문에 투자가 유입될 것으로 IDC는 내다봤다.

IDC팀의 제럴드 왕(Gerald Wang) 선임연구원은 "다만 수출가능한 u-헬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아직 기대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고, 헬스케어 산업구도에도 가시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며 "한국의 시급한 과제로 지불 시스템 개혁, 약물 소비 감소, 병원으로부터 장기 입원 및 만성질환 치료 분리, 헬시에이징 (health aging) 홍보 및 규제 게이트키퍼(gatekeeper) 도입" 등을 꼽았다.

삼성경제연구소(SERI)도 최근 "헬스케어산업의 메가트렌드와 한국의 기회" 보고서를 통해 한국 헬스케어 산업의 5대 융복한 사업기회 중 디지털 의료기기, 헬스가전 등 국내 IT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분야를 강조했다.

여기서 디지털 의료기기는 디지털 영상진단기기, 체내 삽입형 전자의료기기, 휴대용 소형 분석 진단기기, 재활·신체 보조기기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앞으로 5년내 평균 2~3배 가량의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부분이다.

글로벌 사업전개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로, 부족한 역량은 글로벌 통합, 연계 및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충해야 하며, 중국, 인도 등의 R&D 아웃소싱 산업과 글로벌 공개 연구 네트워크 및 컨소시엄을 적극 활용한 것을 SERI는 주문했다.

정부는 보건신기술 인증에 필요한 임상연구, 특허 및 논문출원 등을 지원해 국산 신기술 제품의 상업화를 추진하고, 혁신적 치료기술의 경우 기술 개발한 병원을 중심으로 치료기술 보급센터를 설치해 국내외 기술 교육 및 해외 환자 유치 등을 모색할 것을 제언했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 ▲윤리위원회 강화 ▲서비스의 기술과 규격 표준화 등 관련 제도 선도적으로 정비 등이 필요하며, 원격·현장용 의료기기, 신체 내 삽입형 기기 등은 호환성·안전성·시장확대 등 측면에서 기술과 규격 표준화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한편, 연초에 나오고 있는 보고서와 각종 발표에 따르면 의료 IT산업의 가장 큰 걸림돌은 u-헬스 법안이 발목잡혀 있는 것이 공통적인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소비자들의 원격의료서비스 찬성의 설문조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았다.

한국산업연구원(KIET)이 서울거주 500가구의 20∼65세인 가구주나 가구주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u-헬스 이용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1.2%가 대형병원의 원격의료서비스 허용에 대해서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도시지역 거주자 대상 원격의료서비스 허용에 대해서도 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거동불편자 이외 일반환자에 대한 서비스 허용에 대해서도 67.4%의 응답자가 찬성했고, 초진 허용여부에 대해서도 과반수를 넘는 응답자가 찬성했다.

만성질환 외의 일반질환에 대해서 원격의료서비스를 허용하는 것에서도 찬성이 70.4%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 응답자들이 원격의료서비스 허용범위의 전반적인 확대에 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KIET는 분석했다. 다만 원격의료기기 및 서비스 자체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우려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준의 이용자 정보보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