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관리 교육 학교교과 과정엔 없어
임상이외 분야 모르는채 CEO 역할 수행 무리

현대 사회를 표현하는 대표적 특징이나 특성들 중 반드시 들어가는 것 중의 하나가 경쟁의 심화라는 것이다. 모든 분야에서 경쟁은 곧 우리 내 삶의 일부가 된 것이다. 의원 개업에 있어서도 경쟁현상은 예외가 아닐 뿐더러 그 정도가 점점 심화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성공적인 병·의원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성공적인 방법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역으로 실패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에 이번 칼럼에서는 의료인의 입장에서 개업에 실패하는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원이라는 것은 큰 범주에서 보면 경영이라는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성공적으로 병·의원을 운영하는 의사들의 공통점들 중의 하나는 바로 경영에 대한 지식과 방법론에 있어서 인지도와 적응력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문인인 의사분들도 개원에 임해서는 경영에 대한 지식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거나 혹은 경영에 대한 도움을 체계적으로 받는 것이 성공적인 병원운영을 위하여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현실을 생각해 보자
대부분 대학에서는 임상이외의 분야 즉, 경영전반에 관한 교육에 대해서는 전혀 교과과정 속에 포함시키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의사들은 의료경영관리에 관한 정규교육을 받지 아니한 상태에서 개원을 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병·의원조직의 수장(CEO)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전문인인 의사로서 진료와 임상에 관한 지식과 know-how가 필수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개원을 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문지식 이외의 사항이라 할 수 있는 경영전반에 관한 지식과 실천력이 뒷받침되어야 성공적으로 병원을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부하직원들을 효율적으로 다루는 방법(인사), 조직원의 생산성과 결집력을 높이는 방법(조직행동론), 재무 및 경영 관리에 대한 방법(재무관리, 관리회계),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심리학),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의사결정론) 등등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경주되어야만 성공적인 병원운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필자가 접한 대다수 의료인들은 특히 계수 또는 회계적 측면에 대한 공포감(?)을 가진 이들이 많고 환자를 다루는데 있어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오로지 치아에 대한 관심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I never saw a teeth coming into my office"(by Dr. L. D Pankey) 라는 말이 시사해 주는 바와 같이 환자의 입장에서 보면 치아를 치료 받지만 결국은 하나의 인격체로서 대접 받고 싶은 것이고 치아는 그 환자의 외모 중에서 한 부분에 불과 하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예들은 성공적 병원운영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의사선생님들이 간과하거나 자극을 받을 만한 기회가 없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의사가 개업에 실패하는 원인을 정리해 보면서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도 나름대로 각자의 입장에서 정리를 하고 성공개원에 한발 앞서가기를 기대해 본다.

의사 개업 실패 16가지 이유

1. 자신감 결여
2. 학교에서의 올바른 교육부재
3. 지나친 평등의식
4. 인간의 본성이나 심리를 이해하는 능력의 부족
5. 의사나 직원이 병원 사업을 잘 이해하지 못함
6. 목표의 부재
7. 전략의 부재
8. 비즈니스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 부족
9. 사람 관리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 부족
10. 재무관리와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 부족
11. 마케팅과 네트워킹 기술의 부족
12. 서비스나 상품의 가치를 전달하는 기술의 부족
13. 평범한 사람이나 실패자들과 어울림
14. 지속적인 공부에 태만
15. 불행한 가정 생활
16. 건강 관리의 실패
-Steven H. Poulos-
Dental Economics 1996년 10월 판

우리병원 숫자로 이해하기

재무·생산성 분석…주먹구구식 운영 피해야
숫자에 대한 관심 없인 성공 운영 어려워


의사가 개업에 실패하는 경우,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 반드시 들어가는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숫자에 대한 무관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숫자는 다소 복잡하고 골치 아픈 느낌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대부분의 시간을 환자치료에 할애해야 하는 의사 로서는 진료를 본 후에 다시 이런 저런 복잡한 숫자를 대한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작은 병원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숫자에 대한 분석이나 검토 없이 병원을 운영한다는 것은 곧 주먹구구식 운영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고, 그러한 운영의 결과는 결코 바람직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이번 칼럼에서는 숫자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병원경영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한다.
병원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숫자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병원의 매출 및 수익과 관련된 숫자 분석이고(이를 경영학에서는 재무분석이라는 다소 거창한 용어를 사용한다), 다른 하나는 매출과 수익에 주된 영향을 주는 조직의 생산성과 관련된 숫자 분석이다.(이를 경영학에서는 생산성 분석이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6가지의 지표들을 알아내야 한다.
다행히도 이러한 지표들은 조금만 관심과 신경을 쓰면 쉽게 얻을 수 있는 지표들이다.
첫째, 진료매출액(sales 혹은 production)이다. 결국 의료인을 포함한 모든 의료기관 종사자들이 진료활동을 통해 얻는 수입이다. 이러한 진료수입을 한달 단위로 도출해 낸다.
둘째, 의사, 간호사, 직원들의 평균 숫자이다. 기간은 주로 6개월 동안의 평균 숫자를 사용한다.
셋째, 특정기간(주로 한달) 동안의 총 환자 방문수(total patient visits)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환자수가 아닌 환자 방문수를 조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환자가 한 달에 4번 병원을 방문했다면 4번으로 기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료비를 내지 않는 경우의 방문도 포함해야 한다.
넷째, 특정기간(주로 한달) 동안의 신환자 방문수(new patient visits)이다.
신환자의 기준은 보통 1년 이상 방문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즉, 1년 6개월만에 다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신환자로 구분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특정기간(주로 한달) 동안의 병원 진료시간(office hours)이다. 간단하게 병원이 오픈해 있는 시간을 계산하면 된다.
여섯째, 특정기간(주로 한달) 동안의 의사 진료시간(doctor hours)이다. 이를 간단하게 계산해내는 방법은 총 병원 진료 시간에서 교육이나 세미나 혹은 실험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도출하면 된다.
이러한 6가지 지표들이 도출되면 아래와 같은 재무성과나 생산성 성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알아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