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수 의원, 공공기관 책임성 망각 비난

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건강관리서비스법" 관련 연구용역이 민간기업의 산업화 전략을 답습, 진흥원이 기업논리로 건강관리서비스 도입을 위한 전위부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2일 진흥원 국정감사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은수 의원(민주당)은 진흥원이 추진하는 건강관리서비스법 관련 연구용역들이 삼성과 같은 기업논리에 경도되어 공공기관으로서의 책임성을 망각했다고 비난했다.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진흥원이 추진하는 "건강서비스 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와 "건강관리 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건강위험도 평가기준 연구", "건강관리 표준서비스 제공체계 연구" 등 건강관리 서비스 관련 연구용역이다.

박 의원은 "이들 연구는 건강관리 서비스의 시장화를 통해 이윤창출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삼성의 입장과 동일하다"고 지적하면서 "의료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고려해야 할 진흥원이 민간기업의 산업화 전략과 같은 논리로 건강관리서비스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복지부가 제도도입을 통해 예상하고 있는 2014년까지 시장규모가 2조 3천억 원 성장, 3만 8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의 근거는 진흥원 연구용역을 통한 것으로 현재의 의료체계에서 의료서비스와 건강관리서비스를 분리해 낸 다음 건강관리서비스를 민간자본의 사업영역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결국 2조 3000억에 이르는 시장규모라는 것은 국민들의 새로운 부담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

박 의원에 따르면, 진흥원의 연구보고서에는 "의료기관과 건강서비스기관간의 연계체계 구축방안"이 마련돼 있다.
또 지난 7월 개최한 "건강관리서비스 도입방안 심포지엄" 발표 자료를 통해서는 "의료기관과 건강관리서비스기관을 연계하여 상호간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피력한 바 있다.

박 의원은 "진흥원이 주장하는 건강관리서비스의 성공적인 모델이란 민간보험이나 대기업 등에 의해 운영되는 건강관리서비스 기관과 의료기관이 연계된 수익모델을 염두에 둔 것이며, 개인정보의 수집과 집적화를 가능하게 해 상업적 이용을 용이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라며 "기관간의 연계 역시 유인·알선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현행 의료법 체계를 부정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대기업과 민간보험사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