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형 실거래가제도 도입을 앞두고 병원들이 제약사 임원들를 만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업계는 실거래가 제도에 앞서 병원들이 제약사들(또는 도매사)의 의약품 공급가를 미리 파악해 놓으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대학병원, 전문병원들이 각 의약품 구매와 관련된 제약사 실무책임자급을 줄줄이 소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소식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도 공공연히 확인되고 있다.

한 다국적 제약사 관계자는 "저가 구매 인센티브 때문에 각 대학병원들에서 각 외국계 제약회사 실무책임자급들을 소환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국내 상위권 제약사 관계자도 "중소병원 및 전문병원들도 최근 제약사 구매담당자들과 미팅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만남이 부쩍늘어난 것이사실"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병원들의 행보에 대해 대부분의 제약사들은 병원들이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가 시행되기 전에 의약품 공급가를 확인해 향후 의약품 구매에 따른 이익여부를 확인하려는 행위로 보고 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의약품 납품가 등에 대한 내용이 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삼성병원은 제약사들로부터 의약품 견적서를 제출받았고, 아산병원은 최근 진행중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제약사는 삼성병원에 보험약가 대비 평균 20%, 다국적 제약사들은 평균 5%의 낮은 가격의 견적서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병원들이 제약사들의 의약품 견적서를 미리 확인하면 약은 약대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고 절감된 금액의 일정비율을 인센티브로 받는 두 가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최대의 이득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제약사 또는 도매사들의 의도적인 의약품공급 거부나 유찰사태 우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 나아가 이미 확인된 제약사들의 공급가를 무기삼에 다른 제약사들에게 약가인하 압박을 가할 수도 있다는 점도 있다.

아울러 유통일원화 존폐 문제에 따른 이득효과를 따져보겠다는 의중도 있다. 유통일원화제도는 오는 12월 31일로 만료된다. 만약 폐지가 결정되면 병원들이 도매상을 통하지 않고 제약사들에게 직접 구매해야 하는데 이 경우 얼마나 이득을 볼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라는 분석도 있다.

중소병원이나 전문병원도 사정은 마찬기지다. 연간 수억원에서 수십억원의 의약품을 사용하는 만큼 의약품 구매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 줄이고 줄인만큼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제약사 구매책임자를 수시로 불러들이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미팅이 제약사와 병원간의 사전조율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음성적 리베이트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국내사 관계자는 "제약사들의 견적서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약사별로 비교도 가능하다"면서 "이 경우 제약사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음성적 리베이트가 생겨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병원들은 당장 추석이 끝나면서 시행되는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에 대비해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행정적 문제를 미리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라면서 제약사들의 의약품 공급가 확인설에 대해 일축했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의약품 구매제도가 대폭 바뀐 상황에서 추석이 끝나는 동시에 제도가 곧바로 시행된다"면서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 큰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에 구매서류변경 등 행정적 조율적 차원에서 제약사들과 미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