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서 연구

위암 수술을 받기전에 시행한 검사로 수술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위암센터 김영우·박숙련 박사팀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절제수술을 받은 19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 (CT) 검사를 이용하여 위암의 병기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병기에서 5년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 점막에서 시작된 종양이 위벽을 침습하여 들어간 정도와 위 주위의 림프절에 전이된 정도가 모두 5년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p<0.001),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술 전에 병기가 1A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은 96.0%, 1B기인 경우 84.8%, 2기 때는 74.0%, 3A기는 55.5%, 4기는 37.5% 로 나타났다.

위암의 정확한 병기(암의 진행 정도)는 수술 후 떼어낸 위암 조직을 가지고 종양이 위벽을 얼마나 침입했는지, 림프절에 얼마나 많이 전이 되었는지,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를 검사한 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수술 직후 자신의 병기를 알 수 없고,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는 수일 후 그 결과를 알 수 있다. 의료진은 조직검사 결과를 근거로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예측하고, 향후 치료 방법을 계획하게 된다.

최종 진단은 수술 후 병리검사를 통해 얻어지게 되며, 반면, 수술 전 검사는 암을 진단하고 그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간의 연구와 병리 결과를 비교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병기가 정확하지 않고 (70-90%의 정확도), 장기적 생존률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된 바가 없어, 수술 전 항암치료를 하거나 임상시험연구를 시행함에 있어 이러한 수술전 병기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어왔다.

이번 연구의 책임저자인 김영우 위암센터장은 “최근 수술 전에 시행하는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경우 암이 수술 전에 줄어들어 원래 그 환자가 가지고 있던 병의 정확한 정도를 알기란 불가능하여, 수술 후에 나오는 병리학적 병기가 가장 정확하게 환자의 예후를 예측한다고 하던 개념을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면서, “이 연구 결과로 수술전 임상 병기를 토대로 층화 분석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수술 전 검사로 병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한 절제 여부를 가늠하거나, 수술 전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비뚤림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의의를 밝혔다.

이 논문은 Annals of Surgery 3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