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공동연구팀, 유전자 분석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영향력 규명

[메디칼업저버 강수경 기자] 국내 연구팀이 혈액암 중 가장 흔한 림프종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치료 결과에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했다. 

삼성서울병원은 혈액종양내과 김석진(교신저자)·윤상은 교수(제1저자) 공동연구팀이 유전자 전장검사(WGS)를 통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해 상관관계를 처음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미만성 거대B세포 림프종(DLBCL)은 치료하지 않으면 공격적으로 진행해 위험하지만, B림프구를 겨냥하는 단클론항체와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면 75~80% 이상에서 반응을 보인다. 

다만 치료에 불응하거나 반응을 보인 후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전체 환자의 40%로 적지 않다. 더욱이 항암화학요법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호중구 감소증으로 인해 감염이나 패혈증이 나타나면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겨 치료가 어렵다.

이에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진단받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는 연구를 CJ 바이오사이언스와 공동으로 시행했다. 연구는 2019~2021년 전향적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이 항암 치료 후 호중구 감소성 발열과 같은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고, 치료 후 재발을 포함한 불량한 예후와 관련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모집된 환자 189명의 대변을 채취하고 그중 158명 샘플의 유전자를 분석해 장내 미생물의 상태와 현황 등을 파악, 나이와 성별을 고려해 맞춘 일반인 대조군과 비교했다.

유전자 전장 검사(WGS)로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해 상관관계를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는 건강한 사람과 달리 마이크로바이옴 장내 환경이 불균형을 이뤘다. 

거대 B세포 림프종 환자는 건강한 일반인 대조군과 달리 마이크로바이옴 분포에서 종의 다양성이 현저하게 낮았다. 

반면 유해균에 해당하는 엔테로박테리아와 수테렐라는 더 많았다. 

특히 질병 치료를 막는 대표적 부작용 중 하나인 열성 호중구 감소증 역시 엔테로박테리아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이어 연구팀은 추가로 환자 106명 유전자를 전장 분석(WGS)한 뒤 엔테로박테리아가 확인된 추정치를 기준으로 환자를 양분했을 때 추정치가 적은 환자들보다 많은 환자의 무진행생존율이 11.9배 낮았다. 해당 마이크로바이옴이 많은 환자는 재발이나 병의 진행이 더 잦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석진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림프종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림프종 치료성적 항상을 위해 장내 미생물 불균형을 조절하는 추가 연구를 계획 중”라며 “어려운 여건에서 병과 싸우는 환자와 가족에게 연구를 통해 작은 힘이나마 보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연구재단, 대한혈액학회 후원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혈액학 분야 국제학술지 Blood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