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활용되는 비만의 기준은 BMI와 대사증후군의 주요 척도인 허리둘레로 한국의 경우 25cm/m2, 남성 90cm, 여성 85cm 이상시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른 30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30.7%로 남성 비만 인구가 여성에 비해 높았다. 연령별 비만 유병률은 여성은 60대, 남성은 40대 층이 두터웠다. 소득에 따른 유병률을 보면 여성은 소득이 낮아질수록 유병률이 증가한 반면, 남성은 반대현상을 보였다. 교육수준별 비만 유병률은 남성의 경우 고학력자일수록 높았던 반면 여성은 저학력자일수록 높았고, 유병률이 가장 두터운 층은 남성은 대졸이상자로 39.3%, 여성은 초졸이하가 43.1%를 차지했다. 이 같은 현상은 소득수준과의 관계와 일맥상통한다.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0.2%로 2005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성인과 마찬가지로 남성 소아 비만 환자수가 여성에 비해 높았다. 200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른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 비용은 년간 1조 7923억원이었다.
/표/숫자로 보는 비만과 만성질환

▶국가별 주요 사업

유럽비만학회는 세계 각국에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는 현상에 대해 비만을 새로운 "유행병"으로 규정한 바 있다. 비만으로 인한 사망자와 경제적 비용이 급증하면서 전세계 각국이 이미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세계적인 고민거리인 비만에 대해 외국은 어떤 식으로 대처하고 있을까?

유럽국가들은 비만 인구, 특히 소아비만의 급증으로 국민의 허리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법안을 만드고 있다. 덴마크는 올해부터 청량음료에 세금을 부과하는 소다세를 도입한데 이어 초콜릿, 아이스크림과 같이 설탕이 많이 들어간 제품에 대한 과세를 추진중이다. 영국은 "5A-day" 캠페인을 통해 가정내 하루에 과일, 채소 5번 먹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또한 학교급식 및 식사프로그램을 통해 건강한 아침식사 클럽 및 건강한 매점 운영, 가당음료 대신 물마시기 운동을 벌인다.

인구의 25%가 비만 환자인 루마니아의 보건장관은 3월부터 패스트푸드에 1%의 세금을 부과하겠다고 비만퇴치에 대한 적극적 개입의도를 밝혔다. 그러나 규제를 통한 정부의 중재에 대해 일부에서는 "소위 죄악세가 흡연이나 음주를 얼마나 줄였는지 의문스럽다", "세금을 통해 국민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순진한 발상"이라며 반대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루마니아 보건장관의 의지가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답은 세계적으로 가장 적극적인 비만 중재에 나선 일본의 "메타보사업"의 결과를 추적관찰함으로써 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8년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 사업은 40~74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허리둘레를 관리하는 사업으로 정부가 주도했다. 전국민의 44%인 5600만명을 대상으로 허리둘레를 측정한 후 3개월내 기준치 이내로 진입해야 하며 6개월 이후 미개선시 재교육 및 비만환자가 소속한 기업과 지방정부에 벌금을 부과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일본 최대 개인용 컴퓨터 회사인 NEC를 예로 들어보면 종업원들이 목표 도달 실패시 총 1900만달러에 달하는 벌금을 물게 될 수 있다. 메타보사업의 목표는 성인 비만인구를 4년내 10%, 7년내 25% 감소시키는 것으로 일본정부는 08년 4월 관련법률을 마련했다. 사업 초기 일본 내에서는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적은 편에 속하는데도 불구하고 빡빡한 관리기준으로 이러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약물과다복용으로 이어져 의료비 지출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싱가폴은 The model school tuckshop program(MSTP)와 The healthier choice symbol program(HCSP)의 두 개 사업을 벌이고 있다. MSTP는 학교 매점에서 제공되는 식품의 기준을 마련하고 수행평가하는 것으로 03년 도입됐다. 사업에 참여한 학교내 매점상인은 영양학자와 비만 전문가의 품목검토를 거쳐야 한다. 학교를 대상으로 이러한 사업을 마련한 배경은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어린 시절 습득되기 때문이다. HCSP는 소비자가 식품을 구입시 좀 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제품에 대한 정보제공, 저지방·저포화지방·저염·저당식품에 심볼을 제공한다.

세계 1위 비만국인 미국은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을 통해 학교내에서 학생들에게 무료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제공하는 한편, 아동과 보호자가 건강한 식생활을 영위하고 매일 육체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Eat smart, play hard"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뉴욕시는 2003년부터 공립학교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에서 사탕, 도넛, 스낵류를 판매하지 못하도록 영양지침을 만들고, 학교급식 메뉴에서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빼도록 해 왔다.

/그림/일본의 메타보사업 포스터

/그림/싱가폴의 Healthier choice symbol

▶정부대책

지난 해 정부는 비만 대책으로서 교육자료 제작, 식생활지침 개정, e건강다이어리 오픈 등을 실행했다. 올해도 같은 맥락의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사업내용을 보면 과연 국가적 비만 관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의문스럽다. 모두 관련 정보 수용에 적극적인 사람을 위한 사업들로 정작 계몽이 필요한 소극적 비만 인구의 접근을 이끌 모델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복지부 내부에서도 자성하고 있는 부분이다. 지난 연말 질병관리본부 주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발표의 장에서 발표된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교육자료 제작과 홍보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대상자에게 실질적으로 와닿는 정책이 미흡하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꼽고 있다. 또한 복지부, 교과부, 식약청, 질병관리본부 등 여러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비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문제해결을 위해 부처·관련단체 전문가로 구성된 비만예방대책 수립 TF를 한시적으로 운영중이지만, 현실적이고 영향력있는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