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치료제 '토실리주맙' 국내 수급 불안정
상대적으로 수급 원활한 실툭시맙·에타너셉트 허가초과 사전 승인 확보

▲(좌부터)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 조석구 교수, 첨단재생의료위원장 엄기성 교수.
▲(좌부터)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 조석구 교수, 첨단재생의료위원장 엄기성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서울성모병원 가톨릭혈액병원이 CAR-T 세포치료제 상용화를 앞두고 환자 안전을 위한 최선의 준비를 갖췄다.

서울성모병원은 가톨릭혈액병원이 CAR-T 세포치료제 합병증인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에 대한 대비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불응성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과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들에게 첨단바이오의약품 1호인 CAR-T 치료제 '킴리아(티사젠렉류셀)'가 급여 등재됐다. 

CAR-T 치료제는 종전의 항암제와 다른 '1인 맞춤형 세포치료제'로, 기존 항암치료에 반응이 없던 환자들에서 높은 치료율과 일상복귀율이 임상시험과 실제 현장 데이터로 확인됐다. 1회 치료만으로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CAR-T 치료제는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과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에 있어 새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CAR-T 치료제의 경우 심각한 부작용으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19(COVID-19) 감염 합병증의 하나로 알려진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은 CAR-T 치료제 투여 과정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은 주입된 세포치료제로 인해 염증 반응이 촉발, 전신의 백혈구가 활성화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과분비돼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총칭한다. 중증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은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라고 한다.

발열, 관절통, 구토, 설사, 빈맥 등 증상에서 시작해 심할 경우 쇼크, 발작, 섬망, 의식저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CAR-T 치료 시 70~90%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중환자실 치료율은 10~40%에 달한다고 알려졌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에 대한 조치를 위해, 무엇보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빠른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의 주된 치료 약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도 쓰이는 표적치료제인 인터루킨-6 억제제 '토실리주맙'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토실리주맙이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치료제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현재 세계적으로 공급 부족 사태가 이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토실리주맙 수급은 불안정한 상태다. 

또 토실리주맙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의 악화가 50~60%에서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토실리주맙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 대한 대책 마련 역시 중요하다.

CAR-T 치료제가 먼저 도입된 해외에서는 토실리주맙 외에도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에 대한 여러 치료제를 사용 중이다.

대표적 치료제가 '실툭시맙'과 '에타너셉트'이다. 토실리주맙과 동일하게 인터루킨-6 억제 효과가 있는 실툭시맙은 토실리주맙의 대안 약제로 알려졌다. 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인 에타너셉트도 염증반응을 막아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졌다. 

이들 약제는 토실리주맙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원활한 수급이 가능하지만, 국내에서 규정한 적응증에는 해당하지 않아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병원은 실툭시맙과 에타너셉트의 허가초과 사전 승인을 확보해 이를 CAR-T 치료 프로세스로 구축해 수급 문제를 해결했다. 또 다른 대안 약제인 '아나킨라'를 희귀의약품센터로부터 환자가 구비하고 적용할 수 있는 행정절차를 지원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CAR-T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서울성모병원 조석구 교수(혈액내과)는 "최근 재발성/불응성 미만성거대B세포 림프종과 25세 이하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들에게 CAR-T 치료제가 보험급여 적용을 받게 되면서 이를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며 "CAR-T 치료제에서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부작용인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대비한 다양한 약제를 갖춤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가톨릭혈액병원 첨단재생의료위원장 엄기성 교수는 "가톨릭혈액병원에서는 임상연구를 통해 CAR-T 치료제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치료제를 적용한 경험이 풍부하다. 이를 바탕으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조절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한 상태"라며 "비록 실툭시맙, 에타너셉트 등 다양한 약제를 준비하고 CAR-T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으나 여전히 토실리주맙은 가장 중요한 약제이다. 이들을 최적화해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