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성모병원 김대희 교수팀, 코로나19 유행이 응급의료체계 미친 영향 분석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사망률 2배 증가…중환자실 입원율 늘어

(좌부터)인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김대희·이운정·우선희 교수.
▲(좌부터)인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김대희·이운정·우선희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코로나19(COVID-19) 발생 초기에 빠른 응급처치가 필수인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응급의료체계 대응이 늦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응급실을 찾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사망률이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2배 가까이 늘었고, 중환자실 입원율도 전체 1/3 수준에서 절반으로 크게 증가했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김대희·이운정·우선희 교수팀은 갑작스러운 코로나19 유행이 급성 뇌졸중 환자 관련 응급의료체계에 미친 영향과 환자 예후를 조사했다. 

서울 소재 5개 소방서 산하 안전센터 25곳에 접수된 응급의료서비스(EMS) 기록을 서울 지역 코로나19 유행 이전(2019년 2월 1일~4월 30일) 그룹과 유행 초기(2020년 2월 1일~4월 30일)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응급구조사의 LAPSS(Los Angeles Prehospital Stroke Screen) 척도를 기준으로 뇌졸중 증상을 보이는 환자 465명을 코로나19 유행 이전 그룹(234명, 50.3%)과 코로나19 유행 초기 그룹(231명, 49.7%)으로 구분했다.

연구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 및 성별, 최초 증상, 증상의 발생 장소, 증상 발생 시간대 등은 두 그룹 간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환자의 증상 판단을 위한 통화 시간, 응답 시간, 현장 출동, 의료기관 인계 등 응급상황 대응을 위한 전체 시간은 유의하게 늘었다.

총 이송시간을 기준으로 상위 25%의 환자의 경우 △증상 발생부터 119 신고까지 걸린 시간은 404분에서 680분 △출동 시간은 7분에서 9분 △환자를 의료기관에 인계 후 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은 25분에서 30분으로 증가했다.

병원 응급실 대기 시간도 길어졌다. 코로나19 발병 전에는 176분이었지만 유행 초기엔 195분이 소요됐다. 

또 뇌졸중 치료의 핵심인 골든타임 4.5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비율도 78.6%(184명)에서 69.3%(160명)로 감소했다.

중환자실 입원율은 코로나19 발병 전 33.3%였지만 유행 초기 50.6%로 크게 늘었다. 사망률도 코로나19 발생 전 7.7%에서 유행 초기 13.9%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김대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질환이 갑자기 유행하면 응급의료체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다른 감염질환이 유행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급성 뇌졸중 환자 등 응급환자에게 적절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침 개발과 의료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실렸다(J Korean Med Sci 2022;37(6):e47).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