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원 교수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이혜원 교수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투약 결과

  HBeAg 음성 만성 B형간염 진단하에 besifovir와 L-carnitine을 처방하였다. 복용 한 달 후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HBV DNA 7.11 x 101 IU/mL, AST/ALT 28/41 IU/L로 확인되었으며, 복용 6개월 후 검사결과 HBV DNA target not detected, AST/ALT 21/28 IU/L로 잘 억제되어 유지 중이다. 또한 복용 전 간섬유스캔에서 중등도의 지방간 CAP 292 dB/m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복용 3년 6개월 중인 지금 현재 260 dB/m로 감소된 소견이 확인된다<그림 2>.

그림 2. 간섬유스캔(A. 치료 전, B. 치료 후)
그림 2. 간섬유스캔(좌. 치료 전, 우. 치료 후)

결론 및 고찰

  만성 B형간염의 일차 치료제로 국내에서는 ente-cavir,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enofovir DF), besifovir dipivoxil maleate (besifovir), tenofovir alafenamide (tenofovir AF)가 처방 가능하다.
  Besifovir는 acyclic nucleotide phosphonate로서 adefovir, tenofovir DF와 유사한 nucleotide 계열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이다.
  만성 B형간염의 일차 약제로 처방되는 entecavir와 tenofovir DF와 비교한 임상 연구에서 열등하지 않은 치료효과를 보여주었다.
  1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esifovir 150 mg과 tenofovir DF 300 mg의 치료효과를 비교한 3상 다기관 임상 연구에서 48주 혈청 HBV DNA 불검출률(<69 IU/mL)은 besifovir가 85.3%, tenofovir DF가 88.8%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료 전후 조직검사를 시행한 29명의 환자 중 besifovir를 투약한 군에서 섬유화의 악화 없이 Knodell 염증 괴사 점수가 2점 이상 호전된 경우가 77.8%로, tenofovir DF를 투여한 군의 36.4%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조직학적 개선 효과를 보였다.
  아직 비대상성 간경변증, 간세포암 환자에는 besifovir 투약이 보험 인정되고 있지 않지만 추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처방 기준이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sifovir 관련 내성 바이러스 변이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2상 임상시험 중 보고된 가장 흔한 부작용은 L-carnitine 감소이다. L-carnitine은 에너지 생성을 위하여 지방산을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수송할 때 필요한 물질이다.
  임상시험에서 L-carnitine 보충제를 하루 660 mg씩 투약한 경우 혈청 L-carnitine의 농도는 정상적으로 유지되었으며, L-carnitine 결핍으로 인한 증상(저혈당증, 저케톤증,뇌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L-carnitine은 지방산 대사에 필수적인 작용을 하는 조효소로 아미노산 유도체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급성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장질환 및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폼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본 증례의 환자처럼 지방간질환이 동반된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체지방 감소를 통한 지방간의 호전도 기대할 수 있다.
  Besifovir는 치료가 필요한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의 일차 치료제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로 선택될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 환자들의 복약순응도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L-carnitine을 함께 투약함으로써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방간질환이 동반된 만성 B형간염 환자들에게 적합한 일차 치료제로 기대된다.

Reference

1. KASL. Clin Mol Hepatol . 2019;25(2):93-159.
2. Lai CL, et al. Gut . 2014;63(6):996-1004.
3. Yuen MF, et al. J Hepatol. 2015;62(3):526-532.
4. Ahn S, et al. J Hepatol. 2017;1(66):S88-S89.
5. Song DS, et al. Clin Mol Hepatol . 2021;27(2):346.
6. Gregory S. Altern Med Rev . 2005; 10(1):42-50.

 

정리 [메디칼업저버 메디칼라이터 메디컬라이터부]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