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60% vs 미국인 40% "코로나 확진자 동선공개" 찬성
美UIUC 김정환 박사학생 연구팀, 연구결과 12일 국제학술지 게재
"韓-美 간 집단주의 성향, 사생활 침해·사회적 편익 대한 생각 달라"

[메디칼업저버 주윤지 기자]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GPS 등 개인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코로나19(COVID-19) 방역대책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국제 연구에서 조사됐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김정환 박사과정 학생(지리학·지리정보학과)과 교신저자 메이포 콴(Mei-Po Kwan) 교수 연구팀은 개인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역대책에 대한 '사생활 침해(privacy)' 인식을 측정하는 국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진 출처: 포토파크닷컴. 그래픽 김해인 기자. 
사진 출처: 포토파크닷컴. 그래픽 김해인 기자.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생활 침해 등의 이유로 논란됐던 국내 '10가지 코로나19 방역대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제공된 이번 설문조사는 ▲동선공개 지도를 활용한 동선추적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앱)로 동선추적 ▲전자밴드로 동선추적▲신용카드로 동선추적 등의 방역대책을 포함했다.

연구 결과,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대부분의 코로나19 방역대책에 대한 수용도가 더 높았다. 

두 나라 간 수용도 차이가 가장 큰 방역대책은 '신용카드 정보'를 활용하는 동선추적과 '핸드폰 실시간 위치 조회'를 이용한 자가격리자 감시였다.

특히 신용카드 정보를 활용하는 동선추적에 대해서는 한국인 81%가 수용 가능하다고 응답했지만, 이를 동일하게 응답한 미국인은 33%밖에 안 됐다.

반면, 두 국가 간 수용도 차이가 3%로 가장 격차가 적은 방역대책은 인터뷰 기반의 기존 역학조사 방법이었다.

국내에서 논란됐던 '자가격리자 전자밴드' 관해서도 격차가 나타났다. 한국인의 경우 약 60%가 전자밴드를 찬성했고, 미국인은 약 30%만 찬성했다. 

확진자의 동선과 나이, 성별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한국인은 약 60%가 찬성했고, 미국인은 약 40%만 찬성했다.

연구팀은 참여자의 성별·학력·직업 등 사회경제적 변인을 통제한 결과, 방역대책 수용도는 집단주의적(collectivist) 성향이 강할수록 높은 것을 발견했다. 

김정환 씨는 본지에 "한국인은 미국인보다 사생활 침해에 관한 우려가 적고, 동시에 방역대책으로 얻을 수 있는 사회적 편익이 크다고 생각할 경향이 있다"면서 "또한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와 국내 2015년 MERS 유행 등 전염병 경험에 따라 코로나19 방역이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결과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방역대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문화, 전염병의 과거경험 등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 것을 강조한다"면서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K-방역을 다른 국가에 적용할 때 사회·문화적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씨는 "이번 연구는 방역대책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 신뢰도' 등과 같은 요인을 검토하지 않아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