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21일 "치매의 날" 맞아 본 치매관리 현황

 치매가 더이상 생소하지 않은 시대에 접어들었다.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2018년에는 노인인구가 14.3%에 도달, 고령사회가 된다는 전망은 이제 식상할 정도가 됐다.

  이런 고령화 그래프 옆에 치매도 "고령에게서 호발하는 질환"이라는 설명을 붙이고 나란히 상승하는 유병률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치매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 작년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다양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복지부가 9월 21일 "세계치매의 날"을 "치매 극복의 날"로 대체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은 문제 인식 및 홍보차원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관리를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복지부는 전국적으로 보건소와 거점병원을 선정해 치매 조기검진 사업을 실시하고 있고, 2006~2009년 사이 약 33만여명의 노인들에게 치매선별검사를 시행하는 성과를 올렸다. 또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일에는 보건복지가족부 지정 노인성치매임상연구센터가 "치매임상진료지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런 복지부의 사업들이 순풍에 돛단 듯 흘러가지만은 않는다. 아직도 사전에는 치매와 같은 의미를 지난 말로 "노망"이 나와있고, 치매와의 전쟁 제1선에 서있는 의사들과 노인환자들 역시 치매에 대해 부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찾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에서 치매를 관리하는 국가는 현재 세계에서 우리나라밖에 없다고 말한다. 다른 국가들에서 하지 못하고 있는 일을 시작한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와 함께 전체 로드맵이나 장기 계획없이 진행하는게 아닌가는 우려가 함께 담긴 말이다.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이상 조기검진을 통해 일찍부터 예방을 해야한다는 입장에서 복지부의 사업이 힘을 얻고 있지만 정작 진단 후의 처치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아 정부와 환자 모두의 의료비 부담만 높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가중될 치매로 인한 다방면의 부담들을 고려하면 그냥 방치할 수도 없는 상황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이 점이 정부 뿐만 아니라 의료·제약계에서도 관심을 높이고 있는 이유다. 앞으로의 치매관리 방향에 대한 의견들과 치료 가능성에 대해서 조명해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