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등으로 대뇌 시상억제 조절 못해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신경과 이광수·김중석·김범생(성모병원), 핵의학과 정용안·정수교 교수팀은 뇌졸중, 대사질환 등으로 인해 사람의 몸이 춤추는 모양처럼 커다란 동작을 보이는 2차적 증상인 반무도증의 원인이 대뇌에 있는 시상의 억제 조절기능 상실로 나타난다는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팀은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반무도증이 시작된 시점에서 1주 이내에 방사선과의 뇌MRI(자기공명영상촬영)와 핵의학과의 뇌 SPECT(관류단일광자단층촬영) 촬영을 시행해 반정량적 방법으로 정상인과 환자에서 양쪽의 기저핵(대뇌 중에 깊은 부분에 있으며 뇌세포로 이루어진 부위)과 시상(대뇌 안에 있는 연결 구조)의 비대칭성을 측정해 비교했다.

연구결과 반무도증의 원인은 6명의 조사 대상 중 4명에서 급성 뇌졸중이, 각각 1명에서 당뇨병과 루프스(전신성 홍반선 난창) 질환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이 된 병변은 각 각 대뇌의 반대쪽 조가비핵과 창백핵, 시상하핵에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연구팀은 SPECT(관류단일광자단층촬영) 촬영에서 무도증이 있는 반대쪽의 기저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혈류 감소가 보였고 시상에서는 혈류증가가 관찰되었다며 이러한 혈류 변화가 창백핵에서 시상으로 이르는 경로에서 창백핵의 억제의 상실에 의한것이라는 증거가 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영국의 저명 신경계열 학술지인 JNNP(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3월 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