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적 악화 파악 위해 197명 환자 대상으로 ‘뇌졸중 후 체크리스트’ 조사 분석
체크리스트 통해 뇌졸중 후에 일상생활 동작, 이동, 경직, 통증 등의 악화 여부 확인
장해의 악화를 경험하는 케이스, 뇌졸중 후 6개월째 가장 높아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뇌졸중 후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과 문제가 악화되는 것을 두고 '주관적 악화'라고 표현한다. 이런 주관적 악화는 뇌졸중 발생 후 1년, 혹은 그 이후 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뇌졸중 환자가 경험하는 주관적 악화 증상들에 대해 파악하고,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닌지 모니터링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나 삶의 질에 있어서도 중요한 수단이 된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김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 김원석 교수(사진 오른쪽)

분당서울대병원 백남종· 김원석 교수팀(재활의학과)이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관적 악화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2014년 6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급성기 뇌졸중 이후 재활치료를 받은 197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후 체크리스트'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는 뇌졸중이 발생한 뒤 3개월, 6개월, 12개월의 시점, 총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체크리스트에는 일상생활 동작, 이동, 경직, 삼킴, 통증, 낙상, 실금, 의사소통, 기분(불안· 우울), 인지기능, 뇌졸중 후의 삶, 가족과의 관계 등 총 12개의 증상이 포함됐으며, 환자들은 뇌졸중 발생 후에 관련된 장해의 악화를 경험했는지 질문지에 응답했다.

환자들의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악화'를 호소하는 비율은 뇌졸중 후 6개월 시점에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10% 이상의 환자가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동에 대한 어려움(17.1%)이나 불안 및 우울의 악화를 호소(16.0%)하는 경우가 가장 두드려졌으며, 일상생활 동작, 통증, 인지기능의 악화를 경험하는 환자가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뇌졸중 발생 후 취미생활, 레저활동, 일(직업)과 같은 일상적인 삶의 악화를 호소한 환자 역시 15%를 넘는 수준이었다.

그림. 뇌졸중 발생 후 호소하는 '주관적 악화'의 증상별 유병률 
그림. 뇌졸중 발생 후 호소하는 '주관적 악화'의 증상별 유병률 

나아가 이러한 장해의 악화는 환자의 전체적인 삶의 질 저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관성을 보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동기능의 어려움 및 의사소통 능력의 악화가 실제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원석 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수준은 아니었지만 경직 및 통증, 우울증, 인지기능의 악화 역시 환자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남종 교수는 "뇌졸중 발생 후 6개월~ 2개월까지는 뇌와 신체기능이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시기인데, 이때 다양한 장해의 주관적 악화를 경험하는 환자가 많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재활의학과 등 연관된 진료과와의 적절한 협진 치료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Journal of Stroke & Cerebrovascular Diseases(뇌졸중 및 뇌혈관 질환 저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