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협회, 관련 토론회 개최…관계자들, 제약주권 강화 방안 마련 한목소리
박영준 교수, "감염병 상황 속 의약품 수급 역할 맡을 공적기관 자체 역량 키워야"

이미지출처: 포토파크닷컴
이미지출처: 포토파크닷컴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해외 의존도가 높은 원료 필수의약품의 자급률을 높이려면 공공제조센터를 구축하는 등 공적 역할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감염병 치료제와 백신 개발은 물론이고 이를 생산·공급할 수 있는 제약 자국화가 결국 앞으로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펜데믹이 반복됐을 때 해외 상황과 관계없이 국민건강을 지킬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 10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주관해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생중계한 '한국 제약바이오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나왔다.

이날 발제를 맡은 아주대 박영준 교수(약학대학)는 안정적·양질·저비용의 희귀·필수의약품 공급 및 제조 확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의약품 주권 확보의 지름길임을 강조했다.

글로벌 시대에 전염력이 높은 신종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의약품 공급 체계 과정에서 국가 차원의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미다.

특히, 필수의약품 자급 시스템 구축은 수익 창출 위주로 운영되는 민간 기업의 특성상 적극적인 참여에 한계가 있으니 공공 공급체계를 기반으로 자급 제조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박영준 교수의 주장이다. 

박 교수는 "지속적인 제약산업 육성으로 완제의약품의 자급률은 높아졌으나 필수의약품, 희귀의약품, 백신 등은 자급률이 여전히 낮다"며 "문제는 코로나19처럼 국제적 상황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라고 언급했다.

즉, 필수·희귀의약품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 미국, 영국, 독일처럼 공적 개입을 더 늘려 자체 개발 및 제조 역량(R&D+제조)을 높여야 한다는 것.

그는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는 의약품을 외국에서 수입하거나 공급을 다변화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공급보다는 제조 부문에 맞춰 역량 강화를 해야 한다"며 "제조는 물론 R&D 역량을 보유한 공공제조센터 구축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지난 1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 제약바이오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제약주권 강화 방안을 위한 정부지원 필요성에 공감함과 동시에 산업계의 글로벌 진출을 촉구했다.

김용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바이오산업단장은 "경제성이 담보되지 않은 필수·희귀의약품은 안정적인 공급과 주권 확보를 위해 정부 지원이 있어야 한다"며 "중국과 인도 등 수입에 의존하는 원료의약품과 개발이 필요한 희귀의약품을 구분해 정부가 대응하고 고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 대표는 "연구단계에 그치지 않고 실용화에 도달할 수 있는 혁신의약품 개발을 지속하고  포화 상태인 국내 시장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 초점을 맞춘 성장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허 대표는 "혁신의약품 개발과 글로벌 시장 경쟁이 이뤄질 때 빅파마가 점유하고 있는 시장을 우리나라가 차지해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차원에서 희귀·필수의약품 생산 및 공급을 하는 제약사에게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과정의 기업윤리항목에 유리한 점수를 반영해주는 등 사기진작에 도움이 되는 배려 섞인 정책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제 협력 및 공조를 통해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PIC/S)와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등에 가입했다며, 이 같은 규제와 안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글로벌 수준의 제약산업 경쟁력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식약처 채규한 의약품정책과장은 "허가만 하는 수동적인 게이트키퍼에서 벗어나 갈라파고스적 규제를 버리고 글로벌 기준을 추구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허가체계개선, 임상지원, 심사자료 정보공유, 환자안전 보장, 심사자 평가 역량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