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0 발표
20·30대 고혈압 유병자 127만명…인지율 17%·치료율 14%
대한고혈압학회 "젊은 고혈압 환자 적극적 관리 대책 필요"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0'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고혈압 관리수준이 향상되지 않는 원인으로 20·30대 젊은 고혈압 환자의 낮은 인지율과 치료율이 지목됐다.

대한고혈압학회(이사장 편욱범) '고혈압 팩트시트 2020(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20)'에 따르면 국내 20·30대 고혈압 유병자는 약 127만명으로 추정되지만 인지율은 17%, 치료율은 14%로 상당히 낮았다.

젊은 고혈압 환자는 혈압을 관리하면 장기적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젊은 고혈압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역학연구회는 1998~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2002~2018년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해 우리나라 고혈압 유병 규모와 관리 현황을 정리한 팩트시트를  6일 발표했다. 

이번 팩트시트는 △평균 혈압 및 고혈압 규모의 변화 △고혈압 관리지표의 변화 △고혈압 의료이용 현황 △20·30대의 고혈압 관리 현황으로 구성됐다. 

기존 고혈압 통계가 대부분 30세 이상 인구만을 대상으로 했으나, 이번 팩트시트에서는 분석 대상을 20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20·30대의 고혈압 관리 현황 섹션을 추가했다. 

평균 혈압 큰 변화 없어…고혈압 유병자·치료자 증가세

2018년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평균 혈압은 수축기혈압 118mmHg, 이완기혈압 76mmHg로 최근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다. 

▲국내 고혈압 인구 현황.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0' 발췌.

그러나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고혈압 유병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12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의료기관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02년 300만명에서 2018년 970만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받은 사람은 250만명에서 900만명으로, 고혈압 치료제를 꾸준히 복용하는 사람은 60만명에서 650만명으로 증가했다. 

고혈압 치료제를 처방받는 사람의 60%는 당뇨병 혹은 고지혈증치료제도 같이 처방받고 있었다. 

고혈압 치료제 처방 패턴을 분석한 결과, 2002년에는 대부분 환자가 한 가지 종류의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했지만 2018년에는 41%만 한 가지 치료제를 투약했다. 또 43%는 두 가지 고혈압 치료제를, 16%는 3가지 이상의 고혈압치료제를 복용했다. 

고혈압 치료제 종류는 안지오텐신차단제 사용이 빠르게 증가해 전체 고혈압 치료제 처방의 71%를 차지했고, 칼슘채널차단제(60%), 이뇨제(26%) 베타차단제(16%) 등이 뒤를 이었다.

고혈압 관리수준이 빠르게 개선됐지만…20·30대는 예외

고혈압 관리 실태를 평가하는 지표인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은 처음 조사를 시작한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빠르게 좋아졌지만 이후로는 향상 속도가 더딘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20·30대 고혈압 인지율·치료율 변화.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팩트시트 2020' 발췌.

고혈압 관리수준이 향상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20·30대 젊은 고혈압 환자의 인지율, 치료율이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40대 이후 중년이나 노년층에서는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이 꾸준히 개선돼 혈압조절률도 증가했지만 20·30대에서는 거의 향상되지 않아 인지율이 17%, 치료율이 14%로 낮았다.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역학연구회장 김현창 교수(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는 "우리나라의 전반적 고혈압 관리 수준은 다른 나라가 부러워할 수준으로 향상됐고 그 영향으로 심뇌혈관질환 사망률도 감소하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심뇌혈관질환 환자 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질병 부담을 더 줄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혈압 관리가 미흡한 젊은 연령층, 바쁜 직장인,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새로운 고혈압 예방 및 치료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년층 고혈압 관리에서 전 세계적인 모범 사례를 만든 것처럼 고혈압 관리의 사각지대 해소에서도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성공 사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한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고혈압학회 이사장 편욱범 교수(이대서울병원장, 순환기내과)는 "고혈압이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등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면서도 "하지만 본인의 혈압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고 혈압 조절을 위해 생활습관 개선과 꾸준한 약물치료가 필수적이라는 인식도 아직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젊은 고혈압 환자들은 지금까지 고혈압 예방관리 사업의 대상에서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고혈압을 일찍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질병 예방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젊은 고혈압 환자들에 대한 관심과 혈압 관리 수준 향상을 위한 범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이뤄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