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 연구결과 NEJM에 21일 발표
20일 JAMA Internal Medicine에 발표된 연구결과와 엇갈려
NEJM 편집주간 "토실리주맙은 코로나19에 안전하지만 효과가 없는 약물로 제한적 혜택"

토실리주맙
토실리주맙

[메디칼업저버 주윤지 기자]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토실리주맙(제품명: 악템라/로악템라, 로슈)은 중증 코로나19(COVID-19) 환자의 기관내삽관 또는 사망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메사추세츠병원 John H. Stone 교수팀이 진행하고 로슈의 자회사 진테크(Genetech)이 후원한 이번 무작위 이중 눈가림 대조군 연구결과는 21일 의학저널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중증 코로나19 환자 243명을 포함했다(남성 58%, 평균 나이 60세, 45% 히스패닉·라티노). 환자는 토실리주맙(체중 1kg 당 8mg)+표준치료를 받는 토실리주맙군 또는 위약을 받는 대조군에 배정됐다. 

연구진은 환자가 산소보충에 사용되는 기관내삽관 또는 사망 사건 발생률을 1차 목표점으로 측정했다. 또한 감염증의 악화 또는 산소보충을 베이스라인 시점부터 받은 환자에서 산소보충 중단율을 2차 목표점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토실리주맙은 위약보다 기관내삽관 또는 사망할 위험을 17% 줄였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HR 0.83, 95% CI, 0.59-2.10, P=0.73). 

또한 토실리주맙군에서 감염증이 악화될 위험은 미미하게 높았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HR 1.11, 0.59-2.10, P=0.73). 14일 시점에서 토실리주맙군 18%, 대조군의 약 15%에서 코로나19 감염증이 악화됐다. 

산소보충 중단까지의 기간은 토실리주맙군에서 5일(3.8-7.6)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4.9일(3.8-7.8)로 두 그룹 간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14일 시점에서 토실리주맙군의 24.6%, 대조군 21.2%가 산소보충을 유지하고 있었다. 

토실리주맙군은 대조군보다 패혈증, 수막염 등의 중증 감염 사건이 더 적었다.

Stone 교수팀은 "토실리주맙은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입원한 중등도 코로나19 환자의 기관내삽관 또는 사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효과를 비교하는 데 넓은 신뢰구간을 사용했기 때문에 일부 혜택 또는 해로움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의 토실리주맙 결과는 하루 전 20일 JAMA Internal Medicine에 발표된 연구결과와 다른 내용을 발표한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브리검여성병원 Shruti Gupta 교수팀에 따르면 토실리주맙은 코로나19 중증환자의 사망 위험을 약 30% 줄일 수 있다. 하지만 Gupta 교수팀의 연구는 다기관 코호트 연구인 관계로 토실리주맙 치료제와 낮은 사망 위험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없다. 

Gupta 연구팀은 실제로 "이번 결과는 중증 코로나19 환자에 토실리주맙은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이번 결과는 미측정 교략(unmeasured confounding)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추가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이에 NEJM 편집주간인 미국 하버드대 브리검여성병원 Eric Rubin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토실리주맙이 실패했다는 것이다"고 의학저널에 공개된 오디오 인터뷰에서 밝혔다.

Rubin 교수는 "연구 결말에 토실리주맙에 있는 17명의 환자가 사망했고 대조군의 10명이 사망하거나 기관내삽관을 받았다"면서 "하나의 긍정적인 측면은 토실리주맙은 환자군에 안전해 보였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안전하지만 효과가 없는 약물의 가치는 제한적이다"고 했다. 

토실리주맙은 인터루킨6수용체에 작용하는 단일클론항체이며 이전 연구에서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방출증후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됐다. 로슈는 지난달 21일 토실리주맙이 EMPACTA 연구에서 코로나19 관련 폐렴환자의 인공호흡 필요성을 44%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